2007-08-22 09:30
최근 미국이 자국으로 수입되는 컨테이너 화물에 대해 100% 사전 검색을 전격적으로 의무화했다.
이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이정환 원장은 이에 따른 영향과 시사점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 정부가 물류경쟁력 확보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KMI 최재선 연구위원이 'KMI 해양수산 현안분석'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3일 부시 미대통령은 그동안 숱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컨테이너 화물에 100% 사전 검색을 의무화하는 법률에 최종 서명했고, 이는 미국이 자국의 ‘물류보안(supply chain security)’을 확보하기 위해 마지막 수단을 동원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 법률은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자국 보안 강화를 위해 수입 컨테이너 화물을 외국항만에서 사전에 검색하는 컨테이너 보안협정(CSI)으로, 미국으로 대량살상무기(WMD) 등이 밀반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외국항만에서 미국 세관원(CBP)의 지원하에 컨테이너 화물 검색기(X-ray)로 컨테이너 내부를 검색해 위험화물을 사전에 탐지하는 것이 핵심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 법률은 제정 이후 5년 이내에 외국항만에서 사전 검색을 의무화하고, 사전 검색이 이뤄지지 않은 환적화물을 포함한 컨테이너 화물은 미국으로 반입할 수 없도록 하고, 여객기로 운송되는 컨테이너 화물에 대해서도 3년 이내에 100% 검색을 의무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원장은 "이 법안이 미국에서 처음 상정됐을 때 현실적인 문제가 많다고 보고 부시 미대통령뿐 아니라 해운·무역업계, 관련 정부 부처 등이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고 지적하며, "이 법률의 통과가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겨냥한 민주당과 공화당의 이해가 반영된 ‘정치적인 타협의 산물’로 평가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 미국 해운 및 하주단체 등은 국제 교역구조와 기술 개발수준을 고려했을 때 이 제도는 실제로 이행이 불가능하다고 반발하고 있고, 유럽연합의 경우 이 제도가 도입되면 이익보다는 오히려 국제교역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음을 지적했다.
이 제도가 시행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으로 현재의 기술로는 컨테이너 화물의 100% 검색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지적하는 한편, 이 제도가 미국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물류보안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기보다는 지나친 비용 지출만 강요하게 된다는 항만물류업계의 주장에 대해 설명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컨테이너 보안협정(CSI)을 체결하고 2003년부터 부산항에서 미국 수출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사전 검색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오는 11월부터 부산항 감만 터미널에서 100% 검색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2012년 7월부터 미국 수출 화물에 대해 전면적으로 전수 검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엄청난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원장은 "앞으로 우리나라는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제기구에서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보안조치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이는 물류보안제도가 글로벌 메가 트렌드로 정착되고 있어 다른 나라보다 빨리 완벽한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물류경쟁력에 도움이 되고, 예상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와 공조체제를 구축하면서 100% 검색 조항을 개정하도록 하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새로운 검색제도 시행에 대한 준비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