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6-26 13:19
<해설> `아르헨 경제 살아야 중남미도 산다'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성기준특파원= 아르헨티나 경제.금융 위기의 장기화가 지역경제블럭인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 회원국에 이어 멕시코에까지 악영향을 주자 미국과 국제통화기금(IMF)에 공동대처하자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아르헨 정부는 24일 조지 W. 부시 미국대통령과 `친분이 두터운' 비센테 폭스 멕시코대통령과 공동전선을 구축, 미국과 IMF의 대아르헨 금융지원이 조속한 시일내 이뤄지도록 해줄 것을 멕시코 정부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카를로스 루카우프 아르헨 외무장관은 이날 유력일간 클라린 회견에서 "4년째지속되는 국내 경제위기의 악영향이 역내 국가에서 가시화하면서 멕시코로까지 북상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폭스 대통령이 위기차단의 중재자 역할을 맡아줄 것을 제의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르헨 정부의 요청은 폭스 정부가 측면지원해 IMF가 약속한 95억달러의 긴급 구제금융을 빠른 시일안에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는 뜻이다.
지난주 미국 달러화에 대한 브라질의 헤알화 환율은 자유변동환율제 실시이후 최저수준으로 떨어져 4년째 지속되는 아르헨 위기가 브라질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음을 입증했다. 또 오는 10월 대선에서 `검증되지 않은' 좌파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외국투자가들이 투자 유보 또는 감소 입장을 밝힌 것도 경제불안을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대아르헨 수출감소와 재정적자 확대에 고민하던 우루과이 정부도 상하 12%내의 변동폭에서 운영해오던 외환시스템을 폐지, 자유변동환율제를 전격 실시했다. 그 결과 예상대로 달러화에 대한 페소화의 가치가 16.8% 평가절하되는 사태가 발생했으나 절하폭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메르코수르 주축세력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경제의 위기로 이들 국가와의 교역에 절대 의존하는 파라과이 경제 역시 죽을 쑤고 있다. 공용화폐인 과라니의 가치는 지난 1월부터 지금까지 17% 이상 평가절하됐으나 개선의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브라질에 이어 중남미 2위 경제대국인 멕시코에도 아르헨티나발 먹구름이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프란시스코 힐 디아스 멕시코 재무장관이 지난 20일 "의회가 적자재정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재정개혁안 등 신경제정책의 발목을 계속 잡는다면 아르헨티나와 유사한 위기를 겪을 수 밖에 없다"고 발표하자 주가와 환율이 곤두박질하는 등 경제구조의 취약성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비센테 폭스 대통령이 "멕시코의 경제.재무 구조는 아르헨티나와 다르다"며 긴급 진환에 나섰으나 불안의 그림자를 한꺼번에 제거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실제로 폭스 정부의 각종 개혁정책이 좌절된데다 개선기미를 보이지 않는 무역수지와 재정 적자에 투자가들이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런 발언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처럼 아르헨티나발 경제위기의 영향이 중남미 전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아르헨 정부가 멕시코에 긴급지원을 요청키로 것이다.
루카우프 장관은 "내달 4∼5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메르코수르 정상회담에 폭스 대통령을 옵서버 자격으로 초청하겠다"고 밝히고 "멕시코와 메르코수르가 공동전선을 펴 미국 정부와 IMF를 설득해 보겠다"고 강조했다.
멕시코 정부가 남미 경제위기의 해결사 역할을 맡을 경우 어떤 변화가 올 지는 아직 예측하기가 이르다.
아르헨 정부는 그동안 은행 파산법과 경제구조조정법(일명 경제전복법) 개정 등 IMF가 추가차관 제공의 전제로 내세운 조건들을 부분적으로 충족시켰으나 지방정부와의 합의를 통한 100여만명의 공공근로자 추가감원 문제는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경제규모 축소와 실업률 급증(25%), 페소화 평가절하폭 확대, 인플레 상승 등 어려운 경제여건으로 항의시위가 끊이지 않고 있는 판국에 추가감원이 단행되면 폭동사태까지 예상할 수 있다.
멕시코 정부는 아르헨 사태를 방치하면 멕시코도 결코 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때문에 중재에 나설 것으로 보이지만 더 이상의 긴축이 불가능한 아르헨 정부의 사정과 IMF의 강경입장 사이에서 어떤 의견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