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의 법정관리가 임박해지자 부산항만 관련 단체들이 일제히 한진해운 살리기에 나섰다.
30일 부산 한진해운 사옥 28층에서 한진해운 사태와 관련해 부산항발전협의회, 부산신항만, 부산광역시, 부산항도선사회 등 25곳의 부산항 관계자들과 시민단체들이 모여 '한진해운살리기시민대책위'를 꾸렸다.
이들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로 절차를 밟게되면 ‘부산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거셀 것으로 예고 되는 만큼 금융논리만으로 국가백년대계와 국가기간산업을 와해시키는 우매한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한진해운은 부산항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대표적인 국적선사로 수출입 원가 절감을 통한 국가경제성장 및 우리나라 물류산업 육성에 지대한 역할을 해 왔다. 만약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간다면 그 후폭풍이 국가는 물론 부산지역 경제를 강타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한진해운이 담당했던 연간 100만TEU 이상의 환적화물 가운데 최소 절반이 다른 나라 항만으로 떠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부산항 연매출도 7조~8조 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물량 이탈은 선용품과 물류시장 등 부산의 관련 산업에도 연쇄 타격을 주게 된다.
우선 한진해운의 선박 압류, 화주들 대거 이탈, 해운동맹 붕괴에 따른 환적화물 감소 등은 부산항에 엄청난 피해를 줄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생길 실직자가 수천 명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와 지역 경제계를 바짝 긴장케 하고 있다. 해운업의 몰락은 항만업, 조선업 등 관련 해양 산업에 도미노처럼 동반 타격을 주게된다.
대책위는 "정부는 채권단에만 모든 책임을 미루지 말고 국가 기간산업붕괴 방지 차원에서 방책을 찾아야 한다. 채권단도 다르지 않다"며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자신들도 큰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입장을 정해야 옳다"고 강조했다.
해운업계는 한 개의 원양 서비스 노선 구축에 1조5000억원이 소요된다고 보고 있다. 한진해운의 영업망들이 사라지면 수십조 원의 국가네트워크 자산이 손실되는 셈이다. 채권단과 선사, 정부와 정치권이 이해관계를 떠나 국민 경제 차원에서 한진해운 사태를 바라봐야 하는 이유다.
대책위는 "한진해운은 국제경제의 대동맥이라고 할 수 있는 원양 정기선항로를 개설해 놓고 있는 선사이므로, 우리나라의 중요한 기간산업을 이끌어 가는 회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이런 한진해운을 구원해 내지 못한다면 한국해운의 신용도가 전체적으로 하락하고 그에 따라 해운업계는 그야말로 막대한 피해를 입을 것이 불문가지"라고 밝혔다.
이어 "해운의 고객인 무역업체들이 피해를 입게 됨은 물론이요, 항만이나 조선 등 해운관련 산업도 연쇄적인 피해를 당하게 될 것"이라며 "한진해운이 사느냐 망하느냐 하는 문제는 한국해운의 장래, 더 나아가 한국경제의 앞날과도 궤를 같이 하고 있다. 당연히 한진해운을 살려내서 한국경제를 위해 봉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야만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선진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금융 지원, 채무 지급보증, 저리 회사채 발행 등 수단을 통해 자국 해운선사들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만약 국적 선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기라도 한다면 지금까지 쌓아온 국내 해운산업 생태계는 송두리째 붕괴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대책위는 해운산업에 유동성을 부여하고, 국제경쟁력을 제고하는 구조조정을 위해 면밀하게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해운산업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을 해양수산부와 금융당국에 요구했다. 금융권의 요구보다는 해운산업과 수출입업계의 요구가 반영된 구조조정이 돼야한다고도 강조했다.
한진해운살리기시민대책위는 한진해운의 위기 극복을 위한 대정부 청원을 비롯해 조만간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 정지혜 기자 jhjung@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