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가 물동량 유치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한다.
BPA는 급변하는 해운항만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부산항의 글로벌 물류네트워크 및 집화능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7월8일자로 조직개편 및 인사를 단행,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부산항은 20피트 컨테이너 박스 1947만개를 처리해 전년대비 4.2% 증가하는 성과를 냈다. 특히 환적화물은 개항 이래 처음으로 1000만개 이상을 돌파, 전체 처리화물의 52%를 차지했다. 그러나 부산항은 올해 5월 말 기준 누계 802만TEU를 처리해 전년 동기 816만TEU 대비 1.8% 감소했다. 이런 추세라면 부산항은 당초 설정한 2016년 목표치 2000만TEU 달성은 어려워 보인다.
이런 가운데 BPA는 정부의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낙제점인 D를 받았다. 낙제점을 받은 주요 원인에 대해 BPA 측은 컨테이너부두 관리 및 화물유치,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및 부가가치창출 유도 등 항만관련산업 육성 보다는 크루즈 승객유치 등의 평가배점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로 부산항 입항 크루즈 및 관광객이 급감, 배점 12점 중 5.626점을 받은 것도 경영평가에 영향을 미쳤다.
공사는 이런 상황을 부산항과 조직의 위기로 규정하고 이번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먼저 BPA는 그 동안 부산항을 찾아오는 선사와 항만시설을 관리해 온 수동적인 역할에서 탈피해 국제해운물류흐름을 현장중심으로 조사 분석하고, 세계 곳곳을 찾아다니며 새로운 시장과 물동량을 개척하고, 부산항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정책개발기능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이에 운영본부에 혼재돼 있던 컨테이너 유통과 관련한 정책기능을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국제물류사업단으로 통합하고 컨테이너 물동량 TF(태스크포스)팀을 신설했다. 또 신항 항만배후단지는 부가가치창출기능 보다는 창고기능에 치중해 있는 점과 업무가 여러 부서로 분산돼 있는 점을 해소하기 위해 배후부지 업무를 국제물류사업단으로 통합해 효율화시켰다.
이밖에 BPA는 최근 급증하는 크루즈선과 크루즈관광객 입항을 반영해 크루즈산업과 연안관광산업, 선용품산업 등 항만관련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하기 위해 운영본부 내에 항만산업지원부를 신설했다. 이는 부산항과 BPA의 당면 현안을 조속히 해결하고 재도약을 위해 과감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강한 의지로 풀이된다.
이번 조직개편은 형식적으로는 기존 3본부 2사업단 7실 3소 10부 체제를 3본부 2사업단 8실 3소 10부 체제로 개편했다. 정부로부터 부여받은 관리기능을 넘어 항만당국으로서 스스로 정책기능을 강화하고 새로운 부산항 발전방안을 세계적인 해운항만물류시각에서 구체화시키고 대처해 나가고 있다는데 점에서 이전에 이뤄진 조직개편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게 BPA의 설명이다.
BPA 관계자는 “하나의 컨테이너 부두를 쪼개 여러 부두운영사에 맡기는 운영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운영사를 통합하고 터미널 간 환적화물 이동전용도로를 개설(ITT), 신항 공컨테이너 장치장 운영 등도 하반기에는 탄력이 붙어 부산항 경쟁력이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