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지난해 8월 물류산업을 7대 서비스 유망산업에 포함했다. 물류산업을 신성장동력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지속가능한 산업의 기틀을 마련해 글로벌 물류강국을 실현한다는 게 골자다.
정부가 물류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내놓은 주요 정책이 대부분 거시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다보니, 실제 물류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는 미흡하다. 특히 농산물‧청과물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2013년 기준, 매출액 대비 농산물 물류비는 14.4%, 청과물은 19.4%에 달한다. ‘감자’의 경우 소비자 구입액 대비 물류비 비중이 53.0%에 달하고, '파'는 59.1%에 육박한다.
한국농식품물류학회 이경원 학회장은 9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농산물 물류혁신 특별정책 세미나’에서 국내 농산물 물류비가 높은 이유로 ▲인프라 취약 및 시스템 기능 미흡 ▲물류관리 주체 역할 미흡 ▲물류공동화 미흡 ▲물류 표준화 미흡 ▲파렛트화 및 하역 기계화 미흡 ▲저온유통(콜드체인시스템) 인프라 부족 ▲포장 효율성 미흡 ▲농산물 수급조절 미흡 ▲상품코드화 및 물류 정보화 미흡을 꼽았다.
이밖에도 농산물 규격화, 등급화, 수확 후 관리 기술 보급 미흡, 농산물 물류 전문성 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 학회장은 “국내 농산물‧청과물 물류시스템은 구조적으로 잘못돼 있다”며 “포장비, 운송비, 보관비, 하역비, 감모‧청소비, 물류관리비 등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경원 학회장은 우선 농산물 물류효율화를 위해 규모화, 시스템화, 전문화, 가치화를 논의할 필요성을 시사했다. 또 콜드체인시스템이 선행되어야 공동화, 표준화, 정보화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산지 조직화‧협업화‧선진화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여기다 QR코드, 바코드 등을 활용해 물류정보를 시스템화하고, 물류주체를 조정해 농산물 물류전문법인(제3자물류)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즉 농산물 물류전문법인을 통해 산지, 운송, 소비자/도매시장을 연결해야 한다는 취지다. 도매시장법인, 중도매인, 시장도매인과 같은 동등한 법적 권한 부여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박영재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겸임교수, 정명수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회장, 신양재 한국파렛트풀 연구소 소장, 김성수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유통이사도 농산물 물류시스템의 혁신에 대해 공감하고, 각 프로세스의 문제점 및 대책 등을 발표했다.
특히 마지막 발표에 나선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김성수 유통이사는 사과 소포장 사례, 수박 포장화 및 파렛트 단위 하역 사례, 무‧배추 파렛트 단위 하차 등을 통해 물류비를 크게 개선한 사례 등을 소개하며, 표준화 및 기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농산물 물류혁신을 위해 적극적으로 돕겠다”며 "세미나를 통해 논의된 내용 가운데 정책적으로 필요한 사항은 법안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김동민 기자 dmkim@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