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ICD 전경
의왕시가 추진하고 있는 첨단산업단지 조성과 관련해 국토교통부에서 반대의견을 제시했다.
의왕시는 지난 2007년부터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의왕ICD)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에 위치한 그린벨트 지역(의왕시 이동 263-2번지 일원)에 18만㎡ 규모의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비는 약 1406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사업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EV)방식으로 공공 38%, 민간 62%의 투자로 추진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의왕시는 지난 2월에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이하 중도위)를 통해 그린벨트 해제를 추진했으나, 현재 보완 후 재심의 결정이 내려진 상태다.
김성제 의왕시장은 지난해 취임사를 통해 “2013년 9월 전국 유일의 철도특구 지정을 통해 의왕첨단산업단지 조성 및 왕송호수 레일바이크 사업이 본격 추진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면서 첨단산업단지 조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첨단산업단지, 철도특구와 연관성 떨어져
본지 취재결과, 첨단산업단지 조성은 철도특구사업과 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 의향이 있는 기업들 가운데 철도관련 기관이나 업체는 전무했다. 대부분이 제조업에 편중됐으며, 간혹 일부 유통‧물류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의왕시는 이에 대해 “아직까지 철도관련 업체가 입주를 계획하고 있지는 않지만, 향후 철도기관이나 철도관련 업체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다”며 “해당 산업단지 예정지는 특구법 제35조 및 제36조 특례조항에 의거해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재정자립도를 개선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고용창출 효과가 부풀려졌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의왕시는 첨단산업단지 조성으로 ▲생산유발액 1879억원 고용유발인원 1235명 ▲부가가치유발액 819억원이 창출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본지에서 입수한 유치 협의 대상 기업 가운데 유성티엔에스가 이름을 올렸는데, 이 기업은 종업원 수를 480명으로 써냈다. 이는 전국의 모든 직원을 포함한 것으로, 실제 의왕시에 근무하는 직원은 10명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왕시 관계자는 “2013년 타당성 조사용역을 실시하고 인근지역 적용계수를 적용한 결과를 발표한 것이며, 특정기업의 고용인원을 참고로 작성된 것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의왕 첨단산업단지 조성 예정지역
의왕ICD 교통체증 심화 우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점은 첨단산업단지 조성으로 인해 교통체증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의왕ICD 제2터미널 진출입로는 십년 전부터 상습적인 교통정체로 엄청난 비용손실이 발생하는 구간이다. 특히 목요일과 금요일 화물이 집중될 때는 병목현상으로 인해 제1터미널에서 제2터미널로 이동하는데 1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곧 수출입 화주기업과 운송업체의 비용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의왕ICD에서 만난 화물자동차 기사는 “의왕ICD는 여전히 서류로 업무가 진행되는 곳이 많다보니까, 업무 처리가 지연되고 이로 인해 상습적인 교통정체가 발생하고 있다”며 “민원 접수도 많이 했고, 이로 인해 경찰이 출동했지만, 여전히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어 상당한 피해를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의왕ICD의 교통정체는 하루 이틀 거론된 문제가 아니다. 이미 수 년 전부터 화물자동차 기사들은 교통신호체계 변화를 비롯해 다양한 요구사항을 의왕시와 의왕ICD에 요구해 왔으나, 이들은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문제는 의왕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될 경우 이러한 교통체증은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첨단산업단지 유치 협의 대상 기업 대부분은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어, 향후 교통체증이 악화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의왕ICD에 입주한 물류기업 관계자는 “입주기업이 물류기업이나 철도회사면 큰 상관이 없지만, 일반 제조기업이 산업단지에 들어온다면 말이 달라진다. 교통체증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생각되며, 이로 인한 비용손실은 증가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의왕시는 문제의 원인이 의왕ICD에 있다고 꼬집었다. 시는 ▲피크타임(10시-14시) 화물차량 집중에도 불구하고 중식시간 검수중단 ▲제1기지내 화물주차장 부족과 승용차 불법주정차가 심하나, 단속권한 부재 ▲컨테이너별 개별 검사장 운영 및 통합전산화 미비로 작업시간 장기소요 ▲회사군별 기지내 이동차량 동선 간 교차지점이 많아 지체 가중 ▲터미널 외부 화물차 무단주정차 발생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의왕ICD는 이러한 문제를 장기간 방치하며, 인근 주민들로부터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다. 더구나 기지 내 운영사와 화물자동차 기사들조차 의왕ICD의 무책임한 태도에 혀를 내두르고 있다.
▲의왕ICD 진출입로
2023년 의왕ICD 점용계약 만료 앞둬
2023년 의왕ICD에는 한 차례 폭풍우가 몰아칠 것으로 전망된다.
의왕ICD는 코레일이 지분 25%, 민간물류기업 75%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는 구조다. 의왕ICD와 코레일의 점용계약은 오는 2023년 7월 만료되며, 이 시점이 도래할 경우 의왕ICD 전체부지의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코레일은 ICD 전체 부지를 회수해 직접 운영할 방침을 세우고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의왕ICD는 코레일을 비롯한 17개 운송업체가 지분을 갖고 운영하는 의왕ICD 관리회사로 2024년에는 모든 소유권이 코레일로 귀속되며, 따라서 2024년에 맞춰 하역장비 및 기타 시설개량을 위한 투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의왕ICD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통합가능성도 예측해볼 수 있다. 그러나 코레일은 이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두 터미널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인근 부지를 매입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그런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의왕시에서 추진하는 첨단산업단지 조성과 관련해서는 “의왕 첨단산업단지 조성은 우리가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우리 땅도 아니다. 우리가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이 없을뿐더러, 이미 국토부에 아무런 의견이 없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국토교통부 시설정보과는 첨단산업단지 조성과 관련해 반대의견을 제시한 상태다. 지난해 5월에는 ‘의왕ICD 확장 검토대상 부지’에 대한 의견을 중도위에 제시한 바 있다.
우송대학교 운송물류학과 구교훈 교수는 “의왕ICD는 내륙항만으로써 항만의 컨테이너터미널과 동일한 기능과 운영이 필요하다”며 “저탄소 녹색경제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 물류운송을 위한 수도권 유일의 종합 수출입물류기지로 현재의 1터미널과 2터미널을 통합하여 단일 컨테이너 터미널로 운영을 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반드시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구 교수는 “1터미널과 2터미널 사이의 부지를 의왕ICD에서 매입하고 부지정리를 통해 단일의 통합 터미널로 조성한 후, 노후화로 인해 생산성이 낙후된 컨테이너 상하역 장비인 트랜스퍼 크레인을 신규로 도입·설치해 신속한 철도상하역으로 물류속도를 증대시키며, 터미널의 통합운영을 통해 ICD(내륙컨테이너기지)의 진정한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의왕ICD는 향후 남북간 철도를 중심으로 한 물류교류와 관련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전략의 유일한 전초기지로 국제 물류기지의 역할이 가능하고, 반도체·휴대폰·가전 등 우리나라의 수출전략상품의 물류수송을 취급하는 국내 최대의 수출입물류기지가 될 수 있다”며 “나아가 일본과 한국 및 중국을 잇는 RSR(철도-해상-철도) 복합운송 서비스 기지가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 김동민 기자 dmkim@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