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스전 확보를 위해 국내 대륙붕 개발에 적극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동해가스전의 성공적 운영을 기반으로 오는 2023년까지 울릉, 서해, 제주 등 3개 대륙붕에 최대 9곳의 시추탐사를 추진키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동해-1 가스전은 지난 2004년 생산 개시 후 2조2천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이와 연계해 인근 동해-2 가스전도 개발 중이다.
산업부는 19일 제2차 에너지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외 자원개발과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장기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해외자원개발의 자원 탐사 단계는 공기업이 주도하고 있어 산업부는 개발과 생산 단계에서 민간기업의 참여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산업부는 민간투자 촉진을 위해 융자지원을 확대하고, 해외자원개발 펀드의 투자위험보증 규모도 2017년 4조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한 기업과 대학으로 산·학협력연구단을 구성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석·박사급 고급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 석유대학과 공동으로 글로벌 전문가를 육성한다. 아울러 셰일가스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운영권 사업을 확보하고 민간 투자자에게는 투자위험보증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해저광물 자원개발 정책과 관련해 산업부는 국내 대륙붕내 경제성 있는 생산광구를 확보하고, 기존 시설물을 확보해 연관 사업을 적극 육성한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울릉, 서해, 제주의 대륙붕에 최대 9곳의 시추탐사를 실시한다.
가스하이드레이트의 경우 최근 시뮬레이션 결과를 고려해 2015년 예정이던 현장시험생산계획을 연기한다. 다만 6억2천만t 규모로 확인된 부존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은 계속한다.
또한 국내 대륙붕 해역을 정밀 탐사할 수 있는 신규 탐사선의 건조를 검토하고, 심해 시추선 성능테스트 용도로 폐시추공을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 중국과 서해분지의 공동 탐사를 추진하고, 한-일 공동개발구역 개발을 위해 두 나라가 협력할 예정이다.
산업부가 이날 발표한 계획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1차 에너지(가공하지 않은, 천연 상태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11%까지 확대하고, 에너지원별로는 폐기물 비중은 축소하는 대신 태양광과 풍력을 핵심원으로 육성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발전소 온배수 같이 국내 여건에 적합한 신규 에너지원을 발굴하고, 시장 친화적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민간의 자발적 투자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 업체들이 협소한 국내시장을 넘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