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거대한 땅덩어리와 풍부한 자원과 13억에 가까운 인구를 바탕으로 무서운 속도로 경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 동안 중국은 탁구, 농구 등의 스포츠 부문 정도에서 만리장성 벽으로 체감됐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스포츠 뿐 아니라 경제 여러 분야에서도 고속성장을 이어가며 각종 타이틀을 끌어모으고 있다. 최근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분야를 꼽는다면 조선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산업은 일본에게서 선두 자리를 뺏은 199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한 번도 1위의 자리를 빼앗기지 않은 우리 경제의 대표적인 효자 산업 중 하나다. 그러나 최근 중국 조선업의 추격에 위기를 맞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일부 해외언론은 아시아 극동 3국의 경제 흐름은 일본(아날로그)→한국(디지털)→중국(그린)의 순서로 경제 판세가 변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
중국의 대표 조선소인 다롄선박중공집단 |
7일 클락슨과 조선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10월 초 현재 수주잔량이 5,193만137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로, 점유율(36.4%)면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4,616만3168CGT로 32.4%의 점유율을 기록해 중국에 4.0포인트 차이로 뒤졌다. 지난해 11월초 중국이 처음으로 한국에 0.9포인트 차로 앞선 이후 올해 1월 1.5%포인트, 5월 2.0%포인트, 9월 2.8%포인트로 격차가 증가하고 있다.
수주잔량 뿐 아니라 조선업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3대 지표에서도 시간이 갈수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신규 수주량에서도 중국은 올해 1~9월 누계가 1,073만589CGT로 점유율 45.6%를 기록해 896만563CGT로 점유율 38.1%를 기록한 우리나라를 크게 앞서고 있다.
한국의 수주량 점유율은 지난해 40.1%로 중국의 44.4%에 4.3포인트 차로 뒤처진데 이어 9개월 사이 7.5포인트 차로 격차가 벌어진 양상을 보였다.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중국에 추월을 허용한 건조량에서도 중국은 지난 9월까지 누계가 1,328만3149CGT로 35.5%의 점유율을 기록해 1,200만896CGT로 32.1%의 점유율을 차지한 우리나라를 120만CGT 정도 앞서고 있다. 사실상 연간 1위도 따논 당상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조선업계가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나 고부가가치 선박수주로 중국에 아직 질적인 면에서 앞서 있지만 이는 2000년대 초반 한국이 일본을 앞지르던 때와 비슷한 양상”이라며 “수치 면에서 중국에 분명히 1위를 내줬고 양적인 격차는 갈수록 벌어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다른 시각에서 해법을 제시하는 목소리도 들린다. 한 관계자는 “2012년 이후 ‘몸집 불리기’에 집착하며 ‘규모의 경제’에 힘을 기울인 중국 조선업이 대규모 구조조정의 벽에 부딪힐 것”이라고 전망하며 “중국의 물량 공세를 같은 물량으로 맞서면 규모면이나 양적인 면에서나 이길 수가 없다. 우리의 집약된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고부가가치 선종과 친환경 선종으로 맞대응해야 승산이 있다”고 전했다.
우리 조선업의 나아갈 방향을 최근 대만 에버그린사로부터 높은 가격에 컨테이너선을 수주한 삼성중공업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삼성중공업 도크 야간 전경 |
삼성중공업은 선박가격이 화두가 됐던 신조 협상에서 타사들과 차별화된 수준 높은 친환경선박 기술력을 앞세워 향후 각국의 환경규제에 대비해 친환경 선박이 필요했던 에버그린을 압박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삼성중공업은 앞서 수주한 10척과 같은 단가로 8,000TEU급 선박 10척을 추가로 수주해 업계의 부러움을 샀다.
중국과 생사를 건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는 조선업계는 정부의 정책 지원에 대해서도 목말라하고 있다. 국책사업으로 지원하고 있는 중국의 조선업계와 경쟁을 하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이 열악하다면 결과는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또 위기에 처한 중소조선사들의 구조조정 진행에서도 정부가 먼저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세계 1위라는 자리에 오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세계 1위 자리를 지키는 일 역시 결코 쉽지 않다. 조선업 분야에서 중국과의 결전을 진행 중인 우리 조선업계가 힘을 낼 때다.
<황태영 기자 tyhwang@ksg.co.kr>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