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소에서 만들어진 고부가가치 선박을 국적 해운사에 가장 먼저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세계 1위 조선 강국의 건조 기술력이 녹아든 최신예 선박을 국적선사가 우선 운용토록 해 해운·조선업의 동반 성장을 이뤄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정석주 부장은 지난 23일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 대강당에서 열린 해양산업 상생발전포럼에서 국내 해운·조선업의 상생 필요성을 강조했다.
올해 지배선대 규모에서 세계 7위로 순위가 한 계단 하락한 국내 해운업은 선복량 증대라는 중대 과제를 안고 있다. 고강도 구조조정을 진행하며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선 조선시장 역시 일감 절벽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정 부장은 해운·조선업의 발전을 위해 산업간 공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국내 조선소 건조량 291척(2193만GT·선박의 총 무게) 중 국내선은 24척(102만GT)에 불과하다. 세계 1위를 자랑하고 있는 한국 조선시장이지만 정작 국내 해운사에 선박을 건조해 인도한 비중은 10%도 채 안 된다. 국내 선주들은 중국과 일본 등 해외 조선소에 발주를 늘려왔다.
조선업 역시 우리나라가 아닌 글로벌 선사들을 고객으로 맞으며 수주잔고를 채워왔다. 자국 조선사에 주로 선박을 발주하는 중국과 일본의 사례와 비교하면 대조적인 모습이다.
정 부장은 해운·조선 상생 성장을 위해 첨단 고부가가치 선박을 국내 선사에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적선사의 친환경 선박 요청이 늘어나고 있고 연료 절감 등에 따른 시장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해운·조선업의 상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해외 국가들도 해운과 조선업의 동반 성장으로 위기를 벗어났다. 일본은 선사가 대형 컨테이너선과 탱크선 등을 일본 조선소에 신조 발조하며 위기를 극복했다. 중국 정부 역시 위기 때마다 전략적으로 자국 해운사를 지원하는 신조 발주를 추진해 해운·조선이 상생하고 있다. 유럽 조선사들은 크루즈선사들의 지속적인 발주에 힘입어 일감을 늘려나가고 있다.
반면 지배선대 가치에서 세계 10위를 기록 중인 영국은 자국 해운업이 쇠퇴하면서 조선사도 함께 시장에서 퇴출되는 상황에 처했다. 실과 바늘처럼 해운과 조선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정 부장은 선박에 대한 국제사회의 환경규제 강화로 친환경 선박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선사와 조선사의 상생이 더욱 요구된다고 말했다.
노후 폐선 촉진을 위한 폐선 보조금 도입도 상생 성장 방안으로 언급됐다. 올해 컨테이너선 해체량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과거 최고를 갱신할 전망이다.
프랑스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 컨테이너선 해체량은 당초 예상한 60만TEU를 웃돈 65만 TEU로 과거 최고 기록을 갱신할 것으로 보인다. 2017년은 그 기록보다 10만TEU를 넘어선 75만TEU가 예상된다.
그는 선사들의 부담을 줄이고 조선소의 일감 확보를 위해 중국처럼 폐선 보조금이 지원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해운·조선업 시장동향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양플랜트서비스산업 선순환 구조 만들어야"
최근 경남 거제시에 둥지를 튼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의 주요 역할들도 소개돼 주목을 받았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한성종 선임연구원은 해양플랜트산업이 건조 중심,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 3사 중심의 시장 구조에서 탈피해 이제는 서비스 산업 등 구조의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선 3사 납품 중심의 해양기자재 산업 판로 다변화, 건조 납품 위주에서 유지·보수 납품을 위한 산업 전환, 인력 산업이 아닌 지속가능한 운용·유지보수 시장으로 산업을 재편하자는 게 한 연구원의 설명이다.
건조 시장위주인 우리나라는 해양플랜트 발주량 감소로 위기에 직면했다. 경기침체와 저유가로 장기침체를 우려한 조선사들은 건조 설비 축소에 나섰다. 한 연구원은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의 문제점으로 건조에 편중된 산업구조와 대기업·중소기업간의 격차를 꼽았다. 그는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 참여에 관심은 많지만 기술력 부족, 자금 및 인력 부족, 정보 부족 등으로 기업들의 진출이 어려움이 따른다고 말했다.
따라서 그는 향후 핵심기술 및 인력 지원을 진행해 ▲국내업체 기술능력 배양 ▲국내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해외우수 해양플랜트업체 협업 및 독자영업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진출 등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