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컨소시엄 재편에 따른 선사들의 이합집산으로 시끄러웠던 호주항로는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NEAX’ 컨소시엄의 회원 선사였던 MOL은 머스크라인 MSC 함부르크수드 현대상선과 ‘AAE’ 컨소시엄을 맺었다. 현대상선은 머스크라인의 선복을 임대(슬롯차터)하고 있다. NEAX에서 선박 두 척을 배선하던 OOCL은 코스코쉬핑, ANL과 결성한 ‘A3’로 둥지를 전격 옮겼다. 이로써 NEAX 회원 선사는 케이라인 에버그린 양밍라인 하파그로이드 APL로 재편됐다.
영국 해운조사기관 드류리에 따르면 AAE를 비롯한 컨소시엄 재편의 영향으로 극동아시아발 호주향의 6월 선복량은 전년 동월 대비 25% 늘어났다. 신규 컨소시엄은 호주향 선복량을 크게 늘렸지만 한국발 선복 할당량은 재편 전 수준으로 조정했다. 중국발 수출물량이 상당한 데다 운임도 한국발보다 높다 보니 한국시장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게 해운업계의 평가다. 다만 AAE 컨소시엄 회원 선사는 컨소시엄 재편으로 주요 기항지 중 브리즈번을 추가 기항하게 돼 화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6월 호주항로 운임은 선복조절에도 불구하고 중국발 물량이 전월 수준에 머물러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항운거래소(SSE)에 따르면, 상하이발 멜버른향 운임은 9일 20피트 컨테이너(TEU)당 338달러를 기록해 전주 350달러 대비 소폭 하락했다. 멜버른향 운임은 지난 3월부터 5월 중순까지 400달러선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5월 말부터는 300달러선까지 뒷걸음질치고 있다. 한국발 운임은 전월과 비슷한 TEU당 400달러대를 기록했다. 한 해운업계 관계자는 “수요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선복량이 컨소시엄 재편 이전보다 줄어들면서 운임이 지난달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협의협정(AADA)은 7월 1일 한국발 호주향 해상항로에서 TEU당 300달러, 40피트 컨테이너(FEU)당 600달러의 기본운임인상(GRI)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대부분의 선사는 수요 회복세가 두드러지지 않아 7월 GRI도 순항하지 못할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3분기부터 성수기 물량을 점차 선적해 운임은 차츰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400달러 박스권에서 이제 바닥을 찍고 오를 일만 남았다는 평가다. 일각에서는 호주향 물량 중 중국의 점유율이 절대적이다 보니 운임의 등락은 클 수밖에 없다며, 한국발은 대부분 계약화물로 운임 변동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해운업계가 집계한 한국발 동남호주향 5월 누계 물동량은 2만8900TEU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다. 5월 당월 물동량도 5550TEU를 거둬 전년 동월 5400TEU 대비 소폭 늘었다.
중국발 호주향 소석률(선복대비 화물적재율)은 8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SSE는 “수요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부 선사가 선복량 조절로 수급 균형을 맞추고 있지만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고 평가절하했다. 한국발 호주향 소석률은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인 80~100%를 기록했다. 한 선사 관계자는 “컨소시엄 재편 이후 선복 할당량은 오히려 줄어들다보니 소석률이 자연스레 올랐다”고 말했다.
< 류준현 기자 jhryu@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