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04-19 11:40
[ Ⅹ. 최근 컨테이너 대형화 추세 두드러져 ]
화물운송용기로 사용중인 컨테이너를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실제로
컨테이너가 운송용기로 전세계에 보급되는데는 수년이 걸렸다. 초기에 컨
테이너는 미국 내륙운송에서만 사용하기 위해 제조되었다. 북미서안~호노
룰루항로에서 사용하기 위해 Matson Navigation C).가 제조했던 컨테이너
는 전장이 24피트였다.
Matson이 24피트 컨테이너를 특별히 개발했던 이유는 하와이산 통조림 파
인애플을 미국본토로 운송하는데 화물의 중량과 선적률을 최적의 비율로
맞추기 위해서였다. Matson의 24피트 컨테이너에 이어 MalcomMclean은 35
피트 컨테이너를 개발했다. 35피트 컨테이너도 국제운송용이라기 보다는
미국 국내운송용으로 개발되었다. 당시에 미국 내육운송용 트레일러에 적
재되는 화물의 최대길이는 35피트였다. 35피트 컨테이너는 1950년대에
McLean이 최초로 내륙운송용으로 제조했던 33피트 컨테이너를 대체했다.
Matson이 개발했던 24피트 컨테이너중 일부가 아직도 사용중에 있음을 고
려할 때 24피트 컨테이너는 그 이전에 개발되었던 33피트와 35피트에 비해
내구성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초기에 시랜드와 Navieras de Puerto Rico에
의해 주로 사용되었던 35피트 컨테이너는 1970년대에 선사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말에는 완전히 운송시장에서 자취를 감췄다. 트
럭운송업자에서 선사로 변신한 McLean이 설립한 시랜드는 1960년대에 컨테
이너의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1960년대초에 이미 복합운송개념을
유럽에 수출한 미국 군수물자수송단도 컨테이너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미쳤
다.
미국 군수물자수송단은 대서양항로에서 군수물자수송에 다향한 종류의 소
형 컨테이너를 실험적으로 사용했다. 1960년대말에 North American Van
Lines은 9 입방미터(CBM)짜리 소형 컨테이너용기 1천개를 독일에서 미국까
지 운송했다. 이 소형 컨테이너는 절채로 제조된 최초의 컨테이너였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의를 가진다. 현재와 같은 구조를 갖춘 20피트 컨테이
너가 사용된 것은 1960년대 중반이었다. 1960년대말 서부유럽지역에서 골
철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20피트컨테이너는 1970년대이후 일보ㅈㄴ, 한국,
대만, 남아프리카, 동구 그리고 최근에 중국, 동남아등에서 제조되는 20피
트 컨테이너와 비교하여 다자인면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1964년에 세계 최초로 20피트 철재컨테이너를 개발했던 사람은 독일 함부
르크 출신의 컨테이너 중개업자이자 디자인 전문가였던 Hans Grosse였다.
Hans Grosse가 개발했던 컨테이너는 독일업체인 Metallwerke Saar에서 제
조되었던 20피트 철재컨테이너의 공장도 가격은 5천마르크(현재 미국달러
로 환산할 경우 1,250달러)였다. 당시에 20피트 철재 컨테이너를 주로 매
입했던 업체는 신규로 설립되었던 컨테이너리스업체인 Sea Containers였
다. 2020피트 철재컨테이너가 출현하기전에도 컨테이너 유통량은 급속히
증가했다. 1960년대에 컨테이너유통량은 1만8천개에 불과했지만 1965년에
는 5만3천개로 대폭 증가했으며 이들 컨테이너는 전량 미국업체들이 소유
했다. 1967년에는 14만5천개로 2년전에 비해 3배나 늘어났다. 이 수치를
TEU로 환산할 경우(당시에는 컨테이너 측정단위로 TEU를 사용하지 않음)에
는 숫자가 더욱 늘어난다. 1960년대말에 유통되었던 컨테이너는 주로 시랜
드가 사용했던 35피트 컨테이너로서 전량 알루미늄으로 제조되었다.
당시에 미국 철강업계에선 컨테이너리스업의 발달로 철재컨테이너 수요가
급증할 것을 전망했다. 1969년 미국철강업계의 전문가는 1977년에 미국의
컨테이너최대 수요는 64만TEU로 이를 위해 년간 8만8천TEU의 제조를 제안
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의 미국 철강업계의 컨테이너시장의 전망은 크게 빗나갔다.
실제로 1977년말 전세계 컨테이너 유통량은 2백만TEU에 육박했으며 년간
컨테이너제조량도 30만TEU를 이미 상회했다. 1970년대 컨테이너증가율은
모든 관계자를 놀라게 할 정도였다.
전세계 컨테이너유통량이 1973년말에 1백만TEU에 달했으며 이는 1956년 컨
테이너의 해상운송도입이후 약 15년이 소요되었다.
그로부터 10년후인 1983년말에 전세계 컨테이너유통량은 4백만TEU, 93년말
에는 8백만TEU에 달했다.
그리고 1996년에는 전세계 컨테이너유통량이 1천만TEU를 상회했다. 최근에
는 매년 신규컨테이너증가량이 1백만TEU이상이며 이중 40%는 노후화된 컨
테이너의 대체용이다.
이같은 매년 컨테이너의 증가는 1980년대에 년간 40만~50만TEU, 1970년대
초에 년간 15만TEU 증가와 비교할 때 엄청난 규모의 증가이다. 현재 전세
계에서 유통중인 컨테이너를 일시에 대체할 경우에는 약 3백억달러가 소요
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1985년에 1백50억달러, 1975년에 30억달러와 비
교할 때 엄청난 규모의 금액이다. 최근 값이 비싼 냉동컨테이너와 탱크컨
테이너의 급속한 증가는 세계 전체규모 컨테이너 총가격의 증가에 직접 영
향을 주고 있다.
실제로 냉동컨테이너와 탱크컨테이너의 자산 가치는 세계 전체유통컨테이
너의 총자산 가치중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한 운송서비스의 장점을 가진 컨테이너용기가 전세계 도
처에서 활용됨으로써 규격이 표준화된 컨테이너용기의 필요성이 컨테이너
도입 초기부터 제기되었다.
컨테이너의 표준규격을 전담하는 국제표준화기구 기술분과위원회의 창설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던 사람이 빈센트 그레이였다. 빈센트 그레이씨는 이
미 1959년에 국제표준화기구에 컨테이너의 표준화를 전담할 기구의 창설을
제안한 바 있다. 1961년에 국제표준화기구 기술분과위원회의 제 1차 회의
가 개최되었다. 그후 일반 컨테이너의 표준화에는 수년이 걸렸다. 1960년
대중반 미국내 대부분의 주에선 도로운송용 트레일러의 길이가 종전 35피
트에서 40피트로 확대됨으로써 40피트 컨테이너의 육로운송이 한결 용이해
졌다. 한편 유럽지역에선 주로 컨테이너는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27피트
컨테이너는 Seatrain Lines에 의해서 그리고 24피트 컨테이너는 Matson에
의해 특정항로에서 부분적으로만 사용되었다.
1960년대말 국제표준화기구 기술분과위에선 8개 유형의 일반컨테이너의 표
준규격을 채택했다. 그후 지난 30년동안 8개 유형의 일반 컨테이너의 표준
규격에 관한 논의가 있었지만 지금까지 그대로 사용중에 있다. 35피트 컨
테이너를 세계 컨테이너 유통시장에서 추방하는데도 약 15~20년이 걸렸다.
35피트 컨테이너가 용도 폐기처분된후 45피트 컨테이너의 표준 규격화 문
제가 새로이 제기되었다.
미국선사 APL이 최초로 33피트 컨테이너와 35피트 컨테이너를 사용한 것처
럼 그로부터 30년이 경과된 후에 48피트 컨테이너가 육상운송용 트레일러
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1980년대말 미국내 대부분의 주에선 육상운송용 트레일러의 길이를 48피트
까지 허용했으며 일부 주에선 이미 트레일러의 길이를 53피트까지 허용하
고 있다.
유럽지역에서 스왑바디 컨테이너의 등장과 함께 미국 국내용 대형 컨테이
너 유통량의 급속한 증가는 국제표준화기구 기술분과위로 하여금 1990년대
초에 컨테이너 규격표준화에 관한 2단계 논의 재개를 촉구했다. 국제표준
화기구 기술분과위에선 49피피트 컨테이너와 24.5피트 컨테이너를 새로운
표준규격컨테이너로 채택을 논의했다.
2단계 논의에선 컨테이너의 폭도 기존의 8피트 대신에 8피트 6인치로의 채
택에 관한 논의를 했다. 그와같은 목적은 새로운 표준규격 컨테이너에 해
상운송용 컨테이너와 육상운송용 컨테이너 모두를 포함시키는 것이었다.
국제표준화기구 기술분과위의 제안은 결국 선사와 항만당국의 반대로 무산
되었다. 선사와 항만당국이 대형컨테이너를 표준규격 컨테이너로의 채택을
반대한 이유는 현재 사용중인 7백만TEU이상의 컨테이너가 2~3년내에 무용
지물이 될 것을 크게 우려했기 때문이다.
컨테이너 자체에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2단계에서 논의된 대형 컨테
이너를 컨테이너선박에 선적하기 위해선 기존의 선박내 컨테이너지주대를
개조해야만 한다. 또 컨테이너항만의 하역장비인 크레인에 부착된 스프레
드도 개조해야만 한다. 결국 2단계에서 논의된 표준규격 컨테이너의 대형
화 계획은 무산되었다. 해상운송용 ISO규격컨테이너와는 별도로 지역별 컨
테이너 풀은 자체적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표준규격 컨테이너의 대형화 논의를 유발했던 45피트 컨테이너는 EU로부터
도 반대에 직면하고 있다.
현재 EU에선 1997년부터 유럽에서 45피트 컨테이너의 육상운송을 금지하기
위한 법제정을 서두르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 기술분과위의 1단계 논의에
서 최초로 표준규격컨테이너로 인정된 컨테이너의 높이는 8피트였으나
1970년대에는 대부분 8피트 6인치로 대체되었다. 높이가 9피트 6인치 컨테
이너는 초기에 45피트 컨테이너를 도입했던 미국선사들에 의해 주로 사용
되었다.
그러나 45피트와는 달리 높이가 9피트 6인치인 컨테이너는 현재 대부분의
주요 정기선사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전세계에서 유통중인 높이가 9피트 6인치인 컨테이너는 1백만TEU를
상회하여 1982년에 10만TEU와 1977년에 3만TEU와 비교할 때 엄청난 증가이
다. 1990년대초에 높이가 9피트 6인치인 컨테이너의 중요성이 널리 인정되
어 1단계 ISO 규격 컨테이너에 포함되었다. 1980년대에는 1단계 ISO규격
컨테이너중 20피트 컨테이너화물의 중량 산정시 24톤이 인정됐다. 지금까
지 나타난 바와 같이 지난 30년동안 컨테이너의 기본디자인에는 특별한 변
화가 없었다. 1960년대와 최근에 제조된 컨테이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컨
테이너 사용연한 즉, 수명이다.
1969년 미국 철강업계의 자료에선 컨테이너의 평균사용년수를 10년이하로
계산했다.
1980년대 중반에는 컨테이너의 평균사용년수가 12~13년으로 상향조정되었
으며 현재 대부분의 선사들은 컨테이너를 평균 15년이상 사용하고 있다.
이같이 컨테이너의 평균사용년수가 연장된 것은 컨테이너 제조기술의 발달
과 대량생산, conten철재의 사용에 기인하고 있다. 컨테이너 도입초기와는
달리 컨테이너의 사용년수의 연장은 당연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요한
문제들 때문에 점차 관심밖으로 밀려나고 있다.
현재는 컨테이너 제조와 관련하여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컨테이
너 제조업자들은 열대산 단단한 목재와 솔벤트를 사용한 페인트의 대체제
를 적극 개발하고 있다. 냉동컨테이너 제조업계에선 오존 친화적인 냉각제
를 개발중에 있다.
컨테이너제조어이 인건비와 저렴한 국가로 이전됨과 동시에 컨테이너제조
기술도 점차 발달되었다. 컨테이너의 원자재 가격도 점차 하락되었다. 초
창기에 컨테이너제조는 주로 미국에서 이루어졌지만 19690년대후반에는 서
부유럽지역으로 이전됐다.
철재컨테이너의 수요증가는 주로 서부유럽지역에 의해 충족되었다. 그후
컨테이너제조업자들은 미국의 Fruehauf와 Trailmobile Corp.와 같은 기존
의 업체와 독점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같이 1970년대에는 컨테이너의 제조거점이 미국과 유럽에서 동양으로 이
전됐다.
그리고 1970년대에는 선주들이 가격이 저렴한 철재컨테이너사용을 선호했
기 때문에 알루미늄 컨테이너의 제조량이 크게 감소했다. 일본은 1970년대
에 약 10년동안 컨테이너제조를 주도했으며 1970년대말에는 컨테이너제조
량이 최고조에 달했다. 1980년대 중반에는 일본도 컨테이너제조에 있어서
1위자리를 한국에게 넘겨주었다. 그리고 한국도 1993년에 있어서 1위자리
를 중국에게 넘겨주었으며 중국은 여러가지 여건상 당분간 1위자리를 고수
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1995년에 최초로 50만TEU의 컨테이너를 생산
하여 한국이 92년에 37만5천TEU의 컨테이너를 생산해 당시에 세계최고기록
을 무색케 했다.
이같이 최근 컨테이너제조업계에 빠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제조업
자들의 불만은 1960년대와 1970년대와 비교하여 별로 다를바가 없다. 즉,
컨테이너 수요에 비해 공급자가 너무 많다는 점이다. 컨테이너 제조능력의
과잉으로 컨테이너의 가격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 컨테이너 제조능력으 과
잉으로 컨테이너의 가격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컨테이너 도입 초창기부터
컨테이너의 실제가격은 거의 인상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컨테이제조업자들
은 1980년말에 일시적인 호황을 제외하곤 1975년 이전이 가장 호황이었다
고 인정하고 있다. 혀재 컨테이너 가격은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가격이하
로 떨어진 실정이다. <끝>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