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2.자에 이어>
스마트 그린 물류 현황 및 발전 방향
첫째, 스마트 항만 개발과 관련하여 ① 스마트 항만 기술 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 ② 스마트 항만 관련 부품 국산화율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투자 확대 지원 등이 이루어지고 있고, 스마트 물류거점 개발과 관련하여 ① 디지털 지하 물류시스템, 로봇을 포함한 배송 장비 첨단화 등 도심 물류체계 혁신 ② 자율주행 화물운송 기반 구축 ③ 스마트 항만 확산, 자율운항 선박 상용화를 포함한 국제 화물운송의 고도화 등 물류체계 디지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첨단기술 기반 솔루션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 물류와 관련하여 ① 빅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포워딩 및 원스톱 물류 플랫폼인 삼성SDS의 첼로 스퀘어, 인공지능/기계학습, 빅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기반으로 하는 e-포워딩 및 수출입 물류 플랫폼인 TRADLINX와 같은 디지털 포워딩 ② 대표적인 ICT 기업인 카카오의 TMS(운송관리시스템)와 같은 첨단기술 기반 물류시스템 등 다양한 스마트 물류 비즈니스 모델 및 성공 사례가 도출되고 있다.
그밖에 ① 보관 시설에 대한 투자를 최소화하는 가운데, 물류·보관 시설 운영의 확장성과 공급망 관리의 민첩성을 제고하는 온디맨드 기반의 창고업 ② 글로벌 가시성 제공, 시장주도형, 글로벌 공급망 관리 지원 플랫폼인 e-물류비즈니스 플랫폼(e-LBP)의 구축 등이 추진되고 있다.
스마트 물류 시설과 관련해서는 디지털 물류 실증단지,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전자상거래 물류단지 등 첨단 물류 인프라가 확충되고 있다. ① 드론 배송, 물류 로봇 등을 적용하고, 빅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기반의 최적 물류 및 운송 솔루션 모델을 구축하는 경상북도·김천시의 디지털 물류 혁신도시(2021) ② 사물인터넷, 배달/물류 로봇, 친환경 모빌리티, 자율주행 기반의 중소기업 간 협업형 공동 라스트마일 배송·물류 서비스, 디지털 물류 플랫폼 등 미래형 운송·물류시스템을 구축하는 부산시(2021) 사례 등이 있다.
셋째, 그린 항만, 공항, 물류거점 개발과 관련하여 그린 포트 정책은 ① 부산, 울산, 광양항 등의 LNG 벙커링 터미널 건설 ② 항만 내 해상 풍력 지원 부두 및 수소 항만 건설 추진 ③ 항만과 배후 지역 간 상생 성장 기반 지속 가능성 제고 ④ 항만과 배후 지역 도심 사이에, 해양 공원, 수변 산책로, 친수형 방파제 등, 수림대 형태의 친환경 존(Eco-Zone) 조성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체 생태계 기반의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미래형 첨단 물류 기술 개발 및 신개념 운송·물류 시스템의 도입 및 확산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미래형 물류·유통 기술 개발 및 신개념 옴니채널 물류·유통 시스템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① 물류·ICT·유통 융합형 기술 개발, 신규 과제 발굴 및 R&D 로드맵 수립
② 첨단기술 융합형 물류·유통 적용 기술 및 활용 모델 개발
③ 완전 자율주행(레벨 4) 제도 구축(2024) 등 자율 주행차; 2025년 상용화 위한 공역 협의, 운수권 배분, 보험 제도 완비 등 UAM(도심항공 모빌리티)(2024);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 확대, 안전성 인증 절차 및 비행 승인 요건 완화 등 드론·로봇 배송 기반 첨단 배송·물류 시스템의 개발, 적용 및 사업화 지원
④ 민관 합동 기구인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통한 디지털 물류(2021), 미래차(2019), UAM(2020) 등 분야별 중장기 로드맵의 통합 추진
⑤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방안(국토부, 2023),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사업(국토부, 지자체, 2024),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 개발 및 실증 지원사업(산업통상자원부, 2023), 미래 스마트 융복합 물류 기술 개발 사업 기획(한국교통연구원, 2020) 등 기타 관련 정책
또한, 스마트 물류 장비 제조 산업 육성 정책으로 스마트 물류 인프라, 스마트 물류센터, 물류 벤처 및 스타트업 등 K-스마트 물류 육성을 위한 펀드 조성, 저금리 우대 대출 등 정책 금융 지원(국토교통부, 산업은행, 2020)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섯째, 첨단기술 기반 물류·유통 지능형 시스템 구축 지원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클라우드 기반 물류 서비스 환경 구축 지원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① MES(제조실행시스템) 등 생산 및 생산물류 지원사업(중기청, ’15년) ② 대·중소기업의 조달-생산-물류 연계 지원사업(’18년) ③ 각종 물류 지표를 포함하는 계기판 형태의 디지털 대시보드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공공 및 기업의 정책과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국가물류 통합정보센터의 다차원 정보분석시스템(2011)과의 연계 추진
이와 같은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물류시스템 구축을 통해 ① 사물인터넷/센싱(광범위한 분야로부터의 방대한 데이터의 실시간 기반 수집)-클라우드 컴퓨팅(방대한 데이터의 처리/저장/관리)-빅데이터 분석 ② 다양한 운송 및 물류 수단 간의 인터넷 기반 데이터 교환을 통한 비용 절감 및 새로운 서비스의 창출 ③ 빅데이터 분석 기반 장비운영 정보 등의 공유를 통한 시설 투자 및 공간 확장 필요성 최소화 등이 가능하다.
여섯째, 개방형 사물인터넷 기반 물류-제조-유통 생태계 조성과 관련하여 스마트 항만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고 있다. ① 스마트 항만 건설 R&D 로드맵 구축 ② 실증 공간인 광양항 테스트베드 조성 및 광양항 해양산업 클러스터에 관련 산업 입주 ③ 광양항 테스트베드를 기반으로 2030년 부산항 한국형 스마트 항만 도입 ④ 국내 기업에 의해 장비·시스템이 통합 공급되는 TPS(토탈 포트 솔루션) 체계 구축 ⑤ 장비 도입에 대한 한국해양진흥공사 금융지원 ⑥ 융복합 기술 개발 등과 관련한 관계부처 간 태스크 포스 운영
개방형 사물인터넷 기반 물류 생태계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① 공항만, 기타 물류거점 시설, 물류기업, 첨단기술 기업, 산업단지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생태계 연계 시스템 구축
② 개방형의 클라우드 기반 운영 시스템이 물류 생태계 내 데이터 통합을 위한 기술적 기반 역할 수행
③ 클라우드 기반으로서, 생태계 확장 및 연계 프로세스의 확대에 따라 확장 가능한 체계
④ 공항만, 기타 물류 이해관계자,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다중 연결 기능 제공
⑤ 안전하고 맞춤화가 가능한 접근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 ⑥ 화물 처리 시스템, 운항 정보, 화물추적 시스템, 시설관리 시스템, 보안 장비, 상업시설 등을 연계한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연계 시스템
위와 같은 스마트 그린 물류의 발전에 기반한 신속, 저렴, 정확, 유연하고 맞춤화된 물류 서비스의 제공은 물류 및 기타 산업 전반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 요인이 될 수 있다.
<끝>
< 코리아쉬핑가제트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