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10-05 15:25
전자상거래 국제학술대회 2000 성공리에 개최
30개국 100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가, e-비즈니스의 미래 조명
닷컴기업의 거품이 빠진다는 말이 나돌고 있다. 그러나 닷컴기업 중에서도
탄탄한 수익창출구조를 가지고 있는 분야가 전자상거래 분야이다. 이처럼
인터넷 업계의 핵으로 부상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분야만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국제학술대회, ICEC 2000(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
nic Commerce 2000)이 지난 98년에 이어 다시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지난 8월 21일부터 24일까지 4일간 산업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
로 주최한 ICEC2000이 서울 쉐라톤 워커힐 호텔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학술
대회에는 세계 30개국 약 1000여명의 각계 전자상거래 분야 석학 및 업계
전문가들이 참가하여 전자상거래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보여주었다.
특히, 대회 첫째날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기조연설로 대회를 축하했다. 김대
중 대통령은 e-비즈니스가 IT산업의 발전을 토대로 한 기존 산업의 정보화
를 실질적으로 추진할 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다고 평가
하고 기업경영 전과정의 혁신과 납품관행, 기업간 협력문화의 개선을 위하
여 대기업·중소기업·벤처기업의 공존·공영이 가능한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축에 앞장서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특히, 이번 ICEC 2000의 프로그램은 학술적, 실용적, 정책적 측면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학술분과회의에서는 전자상거래 분야의
첨단기술과 관련된 총 20개 세션, 53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밖에
전자상거래 관련 세계적인 석학 및 전문가들의 초청강연과 튜토리얼로 구
성되었다.
영문 튜토리얼은 총 7개가 발표되었다.
학계 인사로는 카네기 멜론의 사데(Norman M. Sadeh)교수가 인터넷 기반의
공급체계 관리라는 튜토리얼을 통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시스템구
조 및 의사결정지원기능뿐만 아니라 여러 실제적인 사례를 통해 인터넷 기
반의 공급사슬경영과 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했다. KAIST의 스티븐 김(S
teven H. Kim)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붐을 일으키고 있는 인터넷 벤쳐에 대
한 튜토리얼을 통해 제품 혁신부터 온라인 마케팅과 사업 수확에 이르는 영
역에 이르기까지 사이버벤처의 원칙 및 적용에 대해 논의했고, 아리조나 대
학의 올리비아 쉥(Olivia R. Liu Sheng)교수는 인터넷 기반의 구매조달 기
술과 발전이라는 주제로 정보기술 관점에서 인터넷 기반 구매조달의 기회와
도전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의사결정시스템과 전문가시스템의 대가인 터반(Efraim Turban)교수는
텔레비젼과 같은 전통적인 광고매체와 비교하여 인터넷 광고의 특징과 광고
, 홍보전략 등에 관한 내용을, 미국 아이오와 대학의 쿠지악(Andrew Kusiak
)교수는 전자상거래 상에서의 데이터 마이닝이라는 튜토리얼을 통해 데이테
마이닝의 개념, 알고리즘 그리고 전자상거래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
발툴들을 소개했다.
한국어로는 B2B EC,유통 Channel, e-Payment와 e-Finance, e-Biz Managemen
t와 Digital Economy, New Technology, e-Biz Policy의 6개 분야에서 튜토
리얼 발표가 있었다.
B2B EC분야에는 이충화 대표이사(Electopia)의 ‘산업별 B2B전자상거래 추
진전략과 국내 현황’, 김형도교수(아주대)의 ‘XML 기반 B2B전자상거래의
기술적 과제와 전략’등이 발표됐다.
유통 Channel분야에서는 권순범교수(단국대학교)의 ‘전자상거래에서의 채
널관리’, 이금룡대표이사(Internet Auction, Co. Ltd)의 ‘전자상거래시장
의 전망 및 당면과제’등이 발표되었고, e-Biz Policy분야에는 최태창원장(
전자거래진흥원)의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의 기능과 분쟁사례분석’, 황
보열 대표이사(Dajin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Co. Ltd)의 ‘전자상
거래조세에 대한 논의’ 등이 발표됐다. 다음은 눈길을 끌었던 연사들의 논
문 요지를 정리한 것이다.
Norman M. Sadeh
The European Commission & Carnegie Mellon University
현재 떠오르고 있는 글로벌 인터넷 경제는 기업들이 잠재적 공급체인 협력
기업들과 공동으로 새로운 시장 기회, 신상품과 부품 디자인, 그리고 다른
전략적 비즈니 의사결정(예를 들면 제조할 것인지 또는 구매할 것인지 등)
을 빠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점점 장려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것은 꾸준히 변하면서 증가하고 있는 고객의 주문식 시장요구에 응하여,
동적으로 운영되는 공급체인에 걸친 생산 및 수송과 같은 활동들을 기업들
이 효과적이면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위와 같은 기능들을 지원하는데 목표를 두는 가운데, 재배열가능하며 여러
수준(High-level과 Low-level)의 에이전트 기반계획과 스케줄링 구조를 갖
는 MASCOT(Multi-Agent Supply Chain Coordination)의 개념이 제시된다. Sa
deh교수는 실시간 혼합주도(Real-time mixed-initiative)의 ‘what-if’기
능을 가지고 있는 MASCOT구조의 주요 혁신적인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 MASCOT구조 내의 다른 수준에 있는 사용자가 국부적으로 결정하거나 다른
에이전트와 상호작용하면서 조정을 통하여 신속히 계획 및 스케쥴의 대안
과 연관공급체인 요구들을 유연하게 조작하고 평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한 Sadeh교수는 새로운 조정 프로토콜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MASC
OT의 문맥(Context)에 맞추어 개발되었으며, 공급체인에 걸친 유한한 용량
의 스케쥴링 기능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둔 것이다.
실험결과들은 다른 부하와 공급체인 배열하에서 이 새로운 프로토콜에 의한
이익들을 정량적으로 보여준다. 요약해서 Sadeh교수는 첫째로 혼합주도 기
능을 지원하는 MASCOT구조에 대하여, 둘째로 MASCOT의 다른 조정전략에 대
하여,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운영 가정, 다른 부하, 다른 공급체인
배열하에서 이러한 전략의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결과들을 보여준다.
Efraim Turban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인터넷 광고는 인터넷 상에서의 고객들이 브랜드 인지를 통해 물건을 구매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인터넷 광고의 효용으로
는 그룹이든 개인이든 광고대상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으며, 타 광고매체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전세계 모든 나라의 고객에게 미칠 수 있다는 장점
이 있다. 또한 고객과의 상호교환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고객이 광고를 본
다음 구매까지의 과정을 추적할 수도 있다. 또한 새로운 광고를 제작 또는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고객의 반응을 통해 고객과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유도할 수도 있다.
현재 광고시장은 대중광고(Mass Advertisement)에서 상호작용 광고(Interac
tive Advertisement)로 점차 변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광고는 TV나 라디
오, 잡지 등의 기존 광고수단과 비교해 볼 경우,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광고의 수단으로서는 뉴스레터, 토론그룹 등의 이메일기반 광고, 배
너광고, 버튼광고, 전자카탈로그를 통한 광고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인터넷광고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는 효과적인 광고전략과 홍보방안뿐 아
니라, 적절한 웹페이지 디자인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최근 들어 각
기업들은 광고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기호도 등을 고려하거나 쿠키(Co
okies)나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공동필터링(Co
llaborative Filtering)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가장 적절한 시간에, 가장
적절한 광고를 내보내는 타겟팅 광고기법에 주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광고행위 못지않게 광고효과를 측정하고 적절한 측정기법에 의
한 감사(Auditing)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광고 관련 제
반 관리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도, 내부에서 수행할 것인지, 외부전문기관이
나 전문인력에 맡길 것인지 여부와 함께 명확한 광고측정·감사가 이뤄져야
하며, 타당한 비용편익 분석도 수반되어야 한다.
Pattie Maes
MIT Media Laboratory
인터넷 상의 전자상거래는 풍부한 정보와 빠른 검색능력을 지원하나 실제세
계와는 달리 원하는 물건을 직접 만지거나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물건을 바
로 구입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Software Agent 역
시 가상세계에만 국한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와 시간에 따른 사용
자의 요구에 적응하는 능력을 제공할 뿐 실제세계를 경험하는 능력은 가지
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MIT Media Lab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미래전자상거래의 비젼을 제시하고 있는 Impulse Research Project를 통해
실제세계의 풍부한 감가적인 경험에 인터넷의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와 빠
른 검색능력을 결합하여 buyer와 seller간에 원하는 물건을 찾아서 구입하
거나 판매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취지 하에 Pattie박
사는 Impulse Project의 일부로서 location-specific brokering, 즉 특정
위치에 있는 자원의 중개를 해결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location-specific brokering 을 구현하기 위해 Impulse P
roject 중 다양하고 복잡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이질적인 제품과 서비스의
specification과 중개를 위한 기본구조를 지원하는 MARI(Multi-Attribute R
esource Intermediary)프로젝트와 location-specific 검색을 위해 최적화된
검색엔진인 Wherehoo 프로젝트를 결합하여 지역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multi-attribute를 가지고 있는 자원의 중개를 제시하고 있다.
location-specific brokering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Pattie박사는 이동
중에 있는 사람이 근처에 있는 레스토랑을 추천해달라고 요청하는 경우 이
를 해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원은 mobi
le buyer, buyer’s agent, the MARI server, the Wherehoo server, seller
agent, physical seller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정을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지금 자기의 위치에서 저녁식
사를 할 수 있는 이태리 레스토랑을 원한다고 가정해보자.
사용자는 GPS수신기와 무선인터넷 연결능력을 가진 PDA를 통해 자신이 원하
는 요구사항, 예를 들어 저녁식사를 하기 원한다는 요구사항을 적어서 MARI
서버에 보내면, MARI서버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받은 후, 미리 사용자가
셋팅해 놓은 사용자의 선호도 즉, 자신이 허용가능한 위치의 반경, 가격범
위, 서비스 수준, 좋아하는 레스토랑 타입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물리적인
위치를 알아낸 후 그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가장 잘 맞는 서비스
제공자, 즉 레스토랑을 찾아주는 것이다.
Pattie박사는 레스토랑 중개의 예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구입이 가능하고
배달을 받기를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위치를 고려하여 자원중개를
할 수 있는 기본하부구조, marketplace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marketpla
ce는 buyer와 seller에게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더라도 거래의 중개를
지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신홍식
한국전자인증(주)
OECD보고에 따르면 2003년 EC시장은 1조달러 규모로써, 지구상의 상거래 15
%를 담당할 정도로 그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거래 및 거래상대자
에 대한 신뢰확보의 중요성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기업과 고객간
거래에 있어서 신뢰성 확보를 위한 인증부분이 주요하게 다루어져 왔다면
앞으로는 기업간 상거래에 있어서 인증부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다
.
신홍식 사장은 기업간 전자상거래의 인증서비스를 인증(authentication),
지불(payment), 거래공증(validation) 세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
다. 인증분야에서는 인증대상의 특성별로 나누어 그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
며, 지불에 대해서는 기업간 거래의 규모에 따른 요구사항이 다름을 지적하
고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거래공증에서는 견적요청(REP),
가격제안(Proposal), 거래 계약 등에 대한 거래 공증방안과 지불에 대한 공
증방안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사례 GE Global Exchange Service, Texa
s Instruments, Webmethod의 B2B integration 등의 예를 통해 인증서비스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외에도
미국 뉴저지주 주정부에서 활용사례 및 대학에서의 활용사례 등도 같이 다
루고 있다.
GE의 경우 10만이상의 거래기업과 안전한 거래를 위하여 인증서 기반의 시
스템을 구축한 사례를 소개하고, Texas Instruments는 협력사의 주문이행
오류에 대한 비율이 증가하자 이에 대한 대책으로써 인증시스템을 도입했다
. Webmethod는 기업간 시스템통합 부분에 있어서 선두업체로써 기업간 거래
내역을 공증하는 방안으로 인증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비슷한
환경에 속한 기업들에게 좋은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재규
한국과학기술원
지난 2,3년 동안 전자소매업자(e-tailer)이 기본적으로 전통 소매업자들의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 전자소매업자들의 주가와 시가총액은 1999년 말에
급상승했지만, 2000년에는 하락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전자상점(e-st
ore)를 개설했던 전통 소매업자들과 대비하여 순수한 전자 소매업자들의 특
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통 소매업자들은 ‘브릭 앤 모르타르’(B&M), 그리고 추가로 전자상점 유
통채널을 가진 기업은 ‘클릭 앤 모르타르’(C&M)라고 불린다. 실제로 주요
‘브릭 앤 모르타르’들은 벌써 ‘클릭 앤 모르타르’로 전개했다. 그래서
우리는 C&M과 B&M을 엄격하게 구별할 수 없으며, 둘다 전통 소매업자로 부
른다.
순수전자 소매업자와 전통소매업자들에 대한 우리의 첫번째 관심은 비즈니
스 모델에서 어느 쪽이 더 경쟁적일 것이고, 그들 사이의 다른 특징이 무엇
이며, 어떻게 전개해 나갈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우리들은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24곳의 순수한 전자 소
매업자들과 39곳의 전통 소매업자들을 연구함으로써 두 기업형태의 중요한
특징들을 분석한다. 우리는 이 그룹들의 특징들을 대비할 것이고, 1999년 1
0월과 2000년 5월 두 시점의 연구결과들을 비교하는 것으로 동적인 경향을
볼 것이다.
두번째 관심은 시가총액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다른 시점
1999년과 2000년의 2개의 그룹들에 대해서, 변화된 시가총액에 수익과 순이
익의 영향이 있는가? 만일 그것이 존재한다면, 진화단계의 관점으로 차이를
평가할 수 있는가? 이 목적을 위해, 우리들은 전자소매업자들에 관한 단계
이론을 추천하고, 이 구성으로 전자소매업자들과 전통소매업자들을 평가한
다.
우리는 1999년과 2000년동안 순수한 전자소매업자들과 ‘클릭 앤 모르타르
’로 전개했던 전통 소매업자들의 차이들을 연구했다. 18개의 재무변수들에
대해, 전자소매업자들과 전통소매업자들은 구조적으로 차이를 보였고, 또
한 시간의 효과가 의미있었다. 시가총액에 관한 수익과 순이익의 영향은 각
해에 상기의 2개 그룹에 대해 연구되었다.
전자소매업자들과 전통소매업자들의 변화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전자소매업
자들에 대한 단계이론을 도출한다.
도출된 4단계는 Exploration, Stakeout, Stable growth, 그리고 Harvest이
다. 전통소매업자들이 Stable Growth단계에서 Harvest단계까지 전이하는 동
안 전자소매업자들은 Explration단계에서 Shakeout단계까지 이동한다. 우리
는 전자소매업자들이 다음 몇 해안에 Stable Growth단계로 옮겨갈 것이라고
예상한다.
최대원
UN 유럽 경제 담당관
인터넷은 무역, 상거래 그리고 비즈니스 분야에서 이미 상당한 영향을 미치
고 있다. 인터넷은 전통적인 경제활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며, 완전
히 새로운 거래형태를 창조한다. 실시간 정보에 기반하며, 상호작용, 그리
고 디지털 지불시스템에 기반하여 디지털 무여시스템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무역시스템을 만들었다.
이처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디지털 무역시스템은 인터넷의 출현 이전에
존재했던 다국적 무역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며들고 있다. 이들
두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은 더 많은 해석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문제들을
야기시켜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전세계적이면서, 실시간적인, 그리고 다
기능적인 재사용성을 가지는 인터넷 기반 시스템과 물리적, 지역적, 다국적
세계를 위해 디자인된 시스템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새로운 국면에 접하게
되었다.
최 담당관은 이번 발표에서 글로벌한 무역시스템 환경하에서 디지털 무역거
래 시스템과 다국적거래 시스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새로운 경제체계에서
비양립성(Incompatibility)과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이 어느정도인
지를 명확히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신기술 개발관점에서 세개의 다른 무역
층, 즉 국제무역(International Trade), 전자상거래(e-Commerce), 사이버거
래(Cyber Business)가 고려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해, 디지털 경제의 발전과 엄격한 법, 규제체계간의 관계, 기
술적 중립성과 법적 중립성간의 유사성, 디지털 무역시스템과 다국적 무역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은 글로벌한 무역시스템을 위한 미래의 수렴체계(Con
vergence Frame-work)를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
이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