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가 크루즈 산업 활성화를 위한 ‘부산크루즈산업협회(가칭)’ 발족을 추진하고 있다.
BPA는 해운, 항만, 관광, 선용품 공급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된 크루즈 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주목하며, 지난 6월부터 협회를 설립할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유럽과 북미 등 크루즈 산업 선진국에서는 크루즈가 단순 여객 운송 수단을 넘어 관광 수요 창출과 고부가가치 물류 서비스의 매개로 작용하며 주요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올해 부산항은 크루즈선 185항차가 입항해 20만명이 넘는 관광객을 유치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대 실적이다. 하지만 크루즈 관광객과 관련 업계의 목소리를 터미널 운영 및 항만 정책에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공식적인 협의 채널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BPA는 팬스타그룹, 롯데관광개발, 부산관광공사, 부산시관광협회 등 국내 주요 기관과 함께 로얄캐리비안, 카니발, MSC, 노르웨이지안(NCL) 등 글로벌 4대 크루즈 선사와 동방선박, 유니푸로스, 월럼쉬핑, 한보에이전시 등 국내 에이전트와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중 공식 출범이 예상되는 부산크루즈산업협회는 업계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여객터미널 활성화와 항만 인프라 확충에 관한 실질적 정책 제언의 구심점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BPA 송상근 사장은 “크루즈산업은 항만을 넘어 도시 이미지와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융복합산업”이라며 “부산항이 동북아 크루즈 중심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박한솔 기자 hsolpark@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