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해 5월 취항한 하이브리드 수산과학조사선 <탐구8>호 |
정부가 올해 국적 해운사가 짓는 친환경 선박 20척의 신조 비용을 지원한다.
해양수산부는 한국형 친환경 선박(Greenship-K) 도입 계획(2021~2030년)에 따라 이 같은 내용의 올해 친환경선박 보급 시행 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8년 12월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국내 해운사가 친환경 선박을 건조하면 비용의 최대 30%까지 보조금을 지원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친환경 인증을 받은 선박엔 취득세 2%를 감면한다. 공공 부문에선 친환경 선박 건조가 의무화됐다.
정부는 사업이 시작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공공 118척, 민간 81척 등 총 199척의 선박을 친환경으로 전환했다. 지난해엔 2422억원 투입해 친환경 선박 신조 45척, 친환경 설비 장착 30척 등 75척의 친환경 전환을 도왔다.
올해는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과 2223억원(국비 1635억원, 지방비 등 588억원)을 투자해 총 81척의 친환경 선박을 도입할 계획이다. 친환경 선박 54척을 신조하고 재래 선박 27척에 친환경 설비 설치를 지원한다.
민간에선 330억원을 투입해 20척의 친환경 선박 건조를 지원할 예정이다. 내항선 8척에 100억원, 외항선 12척에 230억원의 보조금이 각각 지급된다. 또 기존 선박 12척에 친환경 설비를 설치하는 비용 32억원을 이자 차액 보전 방식으로 지원한다. 이와 별도로 해운사 10곳에 국제 규제 이행 컨설팅 비용 9억원이 지원된다.
정부는 공공 부문에서 총 34척의 전기 추진 또는 하이브리드 선박을 건조한다. 1677억원을 투입해 해수부에서 24척, 교육부와 수자원 공사 등에서 10척을 각각 신조한다. 아울러 38억원의 예산으로 현재 운항 중인 공공 선박 15척에 미세먼지 저감장치(DPF)를 설치한다.
DPF(Diesel Particulate Filter)는 선박에서 배출하는 경유 엔진의 배기가스 중 입자상 물질을 필터로 걸러내 미세 먼지를 줄이는 장치다.
해수부는 이 같은 계획에 맞춰 3월27일까지 내항 선박을 대상으로 1차 친환경 인증선박 보급 지원 사업 대상자를 모집한다. 전기 추진,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추진 등 친환경 인증 선박을 발주하는 연안선사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사업자로 선정되면 인증 등급과 선박 건조 비용에 따라 선가의 최대 30%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위탁 사업자인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에서 지원받는다. 이 사업을 통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유선 3척, 도선 8척, 예선 5척, 화물선 2척, 기타선 2척 등 총 20척의 친환경 연안 선박이 혜택을 받았다.
해수부 관계자는 외항선 친환경 지원 사업인 ‘글로벌 저탄소선박 정책 대응 지원 사업’ 대상자도 조만간 모집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양수산부 누리집(www.mof.go.kr) 공지사항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이경희 기자 khlee@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