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T 기반의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이 각광받고 있다. 세계 각 항만이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하역능력, 노동력 절감, 컨테이너 처리 작업의 단순화 및 친환경 터미널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터미널에서 하역작업 중 노동력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에이프런에서 컨테이너를 AGV와 스트래들캐리어, 트랜스퍼크레인 등을 이용해 무인으로 운반 및 적재를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무인 자동화는 투자비가 많이 들고 상황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인건비를 줄이고 친환경적, 하역처리능력 등의 장점이 있다. 대표적인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네덜란드의 ECT터미널, 독일의 HHLA터미널, 일본의 도비시마터미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컨테이너 터미널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좀 더 나은 하역처리능력과 항만서비스를 가진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개발을 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인 인천의 선광 신컨테이너터미널이 개장됐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발과 동반돼야 하는 것은 특화된 보안수준의 강화다. 아무리 훌륭한 자동화 시스템이라도 보안 공격에 취약해 고객의 정보가 유출되거나 작업이 강제중지 된다면 아무런 쓸모가 없을 것이다. 특히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인력에 의한 작업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보안 측면의 취약점이 많고, 그 피해도 타 컨테이너 터미널에 비해 크다. 효과적인 보안체계 구축이 IT기반의 컨테이너터미널 개발의 전제 조건인 셈이다.
우리나라 항만에 적합한 보안 체계도 필요하다. 지난 2001년 미국에서 일어난 9.11 항공기 테러 이후 직접적인 피해국인 미국 뿐만 아니라 다른나라에서도 물류보안과 연관된 여러 가지 제도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국토안보부(DHS), 해운보안법제정, 컨테이너 보안협정(CSI), 대테러 민간 보안협력 프로그램(C-TPAT), 항만보안법 등으로 물류보안을 강화했다. 국제해사기구(WCG)와 국제 노동기구도 미국과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여 물류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물류 보안과 관련된 움직임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항만 기술에 비해 보안에 대한 인식과 교육은 보안사고에 대한 대처도 수동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한 상태이다. 또 국내의 보안 제도는 국가 전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항만의 특수성을 감안한다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항만에 적합하고 특화된 항만물류 보안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최영훈 대학생기자 fmi@nate.com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