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광양항만공사(YGPA)가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운영사에 무상 지원한 전기 야드트랙터(e-Y/T)가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YGPA는 올해 한국국제터미널과 광양항서부컨테이너터미널에 각각 5기씩 총 10기의 전기 야드트랙터를 지원했다. 이는 여수광양항의 친환경·스마트 항만 전환 전략의 일환이다.
그간 YGPA는 지난 2021년부터 매년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에 리치스태커(R/S) 및 톱핸들러(T/H) 등의 하역장비를 4~5기씩 무상으로 제공해 왔다. 이를 통해 광양항은 컨테이너부두 상하차 대기 시간을 2022년 27.4분에서 2024년 22분으로, 약 20% 단축하는 효과를 거뒀다.
다만 기존 장비는 경유 기반으로, 탄소 감축 목표와는 거리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YGPA는 올해부터 친환경 장비 중심으로 지원 방침을 전환했다. YGPA는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생산성을 향상시켜 물동량 증대와 운영사 장비 운영비용 절감을 이루고 탄소 저감을 실현하는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기대했다.
이번 사업은 전라남도, 광양시, YGPA가 공동으로 추진한 컨테이너부두 활성화 협력사업으로, 지자체는 이를 위해 총 17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공사는 지자체와 협력체계를 지속 가동해 내년에도 친환경 하역장비(e-R/S, e-T/H) 지원을 확대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YGPA 홍상표 운영부사장은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효율성 제고, 친환경화를 실현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앞으로도 여수·광양항 유관기관과 적극적입 협력 체계를 이뤄 항만 활성화 사업을 꾸준히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 박한솔 기자 hsolpark@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