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급변하는 국제 해양 정세와 탄소중립 요구에 선제 대응하고, 정부 정책 지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해양경제안보지원단’과 ‘해양수산에너지전환지원단’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앞서 KMI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과 해양수산 분야 미래 전략 수립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자 지난주 ‘북극항로지원단’과 ‘해양수산AI전환지원단’을 신설하고, 북극항로 기반 글로벌 물류 전략 강화와 디지털 전환 대응에 착수했다.
최근 통상 환경 변화에 따라 해양안보가 경제안보와 결합되고 무역·물류안보가 경제외교 및 해양주권과 함께 정책 이슈로 떠올랐다. KMI는 기존 ‘해양안보정책지원단’의 기능을 확장한 ‘해양경제안보지원단’을 설치해 융복합 이슈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해양경제안보지원단은 해양안보전략연구실을 중심으로 각 부서 전문 연구진이 참여해 현안 진단, 동향 분석, 정책 결정 지원 데이터 제공, 법령 제·개정 검토, 관련 연구 수행 등을 통해 정책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탄소중립과 친환경 전환이 전 세계적으로 주요 의제로 떠오른 가운데, 해양수산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체계적 대응도 본격화한다. KMI는 ‘해양수산에너지전환지원단’을 신설하고, 에너지 전환 관련 법령 및 정책 수립을 지원하며 2026~2050년 에너지 전환 로드맵 수립에 착수한다.
해양수산에너지전환지원단은 관련 분야 연구 경험을 갖춘 전문가들이 참여해 정기 워크숍 및 세미나 개최, 현장 의견 수렴, 관련 연구 등을 통해 중장기 정책 기반 마련에 집중할 예정이다.
KMI는 △북극항로지원단 △해양수산AI전환지원단 △해양경제안보지원단 △해양수산에너지전환지원단 등 4대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국정과제 이행 및 해양수산 전략 수립을 체계화한다는 계획이다.
KMI 조정희 원장은 “4대 핵심 과제는 해양수산의 지속가능성과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전략적 과제”라며 “지원단별 연구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을 신속히 마련해 국정과제 실행에 기여하고, 글로벌 해양 강국 실현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 박한솔 기자 hsolpark@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