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물류업계에는 역대 최장기간 진행된 철도파업이 화두였다.
올해 9월 말 철도노조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이사회의 결정을 통해 도입된 성과연봉제에 반대하며 운송거부에 나섰다. 철도노조는 이사회를 개최한 코레일이 제대로 된 단체교섭 없이 일방적으로 취업규칙을 변경해 임금체계를 변경했다며 운송거부에 돌입했다.
철도노조 파업에 철도를 이용해 수출을 진행하던 화주물류기업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철도로 나가야 하는 화물은 수도권과 부산권을 잇는 내륙화물기지 의왕ICD에 모인다. 물류업계에 따르면 올해 철도파업으로 의왕ICD에 쌓인 컨테이너는 최대 약 2200TEU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상시 약 1100TEU였던 컨테이너 적치량이 파업 이후 두 배 이상 늘어나 기업들의 근심을 키웠다.
코레일과 철도노조의 피 터지는 싸움에 물류·수출입업계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특히 월말이 되자 수출업계의 밀어내기 물량 공세에 물류기업들은 막다른 벼랑 끝에 몰렸다. 기업들은 수도권에서 부산으로 화물을 보내고 다시 올려야하는 공차 비용부담으로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다.
철도노사는 성과연봉제 파업사태 해소를 위해 20여회에 걸친 대화 끝에 결국 2016년도 임금협약에 합의했다. 코레일 노사는 72일만인 12월 초 사태 해결을 위한 합의를 도출하며 길고 길었던 파업을 마무리했다. 파업은 일단락됐지만 철도물류업계에서는 향후 물류대란에 대비해 필수유지업무 도입을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반복되는 파업 피해는 물론 물류차질과 이에 따른 국가경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 개정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재 철도사업은 노조가 파업에 돌입했다고 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인력을 현장에 남겨둬야 한다. 여객 부문은 최소 60% 이상의 인력이 현장에 투입돼 남은 40%의 인력만이 파업에 가담할 수 있다. 하지만 화물열차는 필수공익장 내 필수유지 업무에서 제외돼 현장에 인력이 없어도 된다. 조합원들의 100% 파업참여가 가능해 화물열차 가동률이 추락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파업기간 내내 화물열차 운행률은 40%대 밑을 맴돌았다. 물류기업들은 연례 행사처럼 되풀이되는 파업에 대응하기 위해 화물이 필수유지업무에 포함되도록 노사협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코리아쉬핑가제트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