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내륙화물기지’의 심장으로 불리는 의왕ICD를 찾았다. 컨테이너를 실은 화물차량들이 정신없이 움직이고 있는 탓에 현장의 열기는 제법 뜨거웠다. 이곳을 찾은 목적은 단 하나였다. 7년 후면 이곳의 물류판도가 바뀔 것이라는 업계의 얘기를 들어서였다.
1993년 대형 컨테이너 운송사들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전신인 철도청과 협약을 맺고 의왕ICD 운영에 들어갔다. 운송사와 철도청이 75:25의 비율로 의왕ICD를 설립한다는 내용이었다. 의왕ICD의 부지와 철로는 당시 철도청이 입주기업에 임대했으며, 기업들은 리치스태커 섀시 등의 인프라를 들여와 운영을 시작했다. 현재 75만㎡(22만6875평)에 달하는 부지에는 15개의 대형 컨테이너 운송사들이 입주해 있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2023년이 되면 코레일과 운송사들의 점용 계약이 만료된다. 하지만 계약이 끝난 이후 의왕ICD 활용법을 놓고 운송사와 코레일의 바라보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코레일은 ‘운영 효율화’를 목적으로 부지운영을 단일화해 철도물류 경쟁력과 부지 활용도를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철도 수송 물량과 매출액을 늘려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의왕ICD에는 수많은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화물이 가득차 있는 컨테이너라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박스는 텅텅 비어 있다. 빈 박스가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는 운송사들의 선사 영업에서 비롯된다. 운송사들은 입주 부지를 공컨테이너 공급 및 반납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공컨테이너 부지를 확보해야 선사 영업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빈 컨테이너 박스가 가득 쌓여있는 모습에 코레일의 심경은 착잡하다. 기지 내 차량정체와 운영사 난립 등 철도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운영 효율화가 필요하다는 게 코레일의 입장이다.
반면 컨테이너 운송사들은 코레일의 운영 효율화에 부정적인 모습이다. 현재 철도 수송량이 감소세에 직면했고, 경인지역 화주들이 대전 이남으로 이전하는 와중에 효율화는 무의미하다는 주장이다. 그나마 유치되던 철송 물량이 육로로 빠져나갈 것이라는 게 운송사들의 입장이다.
아울러 수개월이 걸리는 의왕ICD 리모델링 공사에 대비한 공컨테이너 보관 대체장소 확보와 원활한 철송 등이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컨테이너 운송사 관계자는 “공사가 진행될 경우 혈세투입이 불가피해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며 “코레일이 물량 유치를 통해 제대로 돈을 벌어보겠다는 생각”이라고 꼬집어 말했다.
계약만료까지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7년이라는 시간이 남았다. 운송사와 코레일이 상생할 수 있는 해법을 남은 기간 동안 찾아야 한다. 코레일과 입주기업들이 목표로 하는 건 ‘수익창출’이다.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75만㎡의 부지를 쉽게 양보할 수 없는 노릇이다. 수익개선을 위해서라도 땅 주인인 코레일 입장에서는 의왕ICD 효율화가 필요하다. 그렇다고 수십 년을 넘게 운영해오던 운영사들을 뚜렷한 대책 없이 내보내거나 개발계획에서 배제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그동안 운송사들이 쌓아왔던 영업기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이에 걸맞은 해결방안이 도출돼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그 대책 안에는 뒷걸음치고 있는 철도물류를 다시 일으킬 수 있도록 경쟁력 강화 계획이 포함돼야할 것이다. 수백억원의 혈세를 투입해 애써 지어놓은 의왕ICD를 애물단지로 만들어버리는 일이 있어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