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16 10:48:42.0

글로벌 물류기업 탄생 위한 ‘만남의 장’ 마련

‘글로벌 물류기업 CEO 포럼’ 출범

 

 

글로벌 물류기업을 탄생시키기 위한 새로운 장이 열렸다. 지난 12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국제물류협회 그리고 한국통합물류협회는 은행연합 국제회의실에서 ‘글로벌 물류기업 CEO 포럼’창립식을 거행했다.

그간 국내 물류업계에선 글로벌 물류시장의 성장, 국내 물류시장 포화상태 도달 등의 이유로 국내 물류기업의 글로벌 물류시장 진출 필요성이 꾸준히 강조돼왔다. 하지만 물류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외진출 정보 및 경험 공유와 애로사항 해결방안 강구 등을 논의할 만남의 장이 부재했던 것이 현실이다. 이에 물류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런 사안들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글로벌 물류기업 CEO포럼’이 설립된 것이다.

‘글로벌 물류기업 CEO포럼’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김학소 원장), 한국국제물류협회장(김영남 회장), 한국통합물류협회장(석태수 회장) 3인이 공동의장을 맡게 됐으며 한국국제물류협회, 한국통합물류협회에서 공동으로 사무국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한국통합물류협회, CJ GLS, 현대글로비스, 동부익스프레스 등 물류관련 협회와 기업 11곳이 운영위원을 맡게 된다. 현재 포럼에서는 50개 이상의 물류업체가 가입했으며 지속적으로 참가신청을 받고 있다.

포럼 관계자에 따르면 정기총회는 연 1회, 정기모임은 반기 1회를 실시할 계획이며 포럼에서는 물류기업의 해외진출사례, 해외물류시장 정보공유, 해외공동물류사업 발굴 및 사업추진, 물류산업 성장을 위한 관련 법ㆍ제도 개선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다.

이날 창립식에서 공동의장을 맡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학소 원장은 “2000년대 중반 이후 글로벌 물류기업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물류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에 대해 논의할 만남이 장이 없어 여러모로 안타까웠다”며 “본 포럼을 통해 여러 물류기업들의 다양하지만 체계적으로 정리된 목소리가 정부 및 관련 산업에 전달됐으면 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포럼에선 창립총회 후 기념세미나가 개최됐다. 세미나에선 이성우 KMI 국제물류연구실장의 ‘우리나라 물류기업의 해외진출 과제와 방향’, 민선기 CJ GLS 글로벌기획팀장의 ‘CJ물류사업 글로벌 진출 방향’, 최순권 부경대학교 교수의 ‘부산신항배후부지 입주업체 신규모델 사례 분석’에 대한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주제발표 후 마지막으로 진행된 토론회에선 한국해양대학교 이정환 석좌교수를 좌장으로 김준석 국토해양부 물류정책과장, 한솔CSN 허용구 상무이사 등 4명이 참여해 토론을 펼쳤다.

한솔CSN의 허용구 상무이사는 “실무적 관점에서 봤을 때 글로벌 물류기업이 되기 위한 가장 큰 조건은 ‘물량확보’인데 물량확보를 위해선 자사계열사가 아닌 글로벌 화주에게 접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화주를 공략하기 위해선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가 가장 중요한 사안이다. 국내물류기업은 DHL 등 글로벌 물류기업에 비해 네트워크가 많이 떨어 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범한판토스의 김영빈 상무이사는 “우리 회사는 38개국에 150여개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한국에서는 물류 네트워크를 가장 많이 가진 기업 중 하나지만 아직도 부족하다”며 “중남미 및 중동아프리카 등으로 네트워크를 늘려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의 다각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닥터물류 인재환 대표이사는 “글로벌 물류기업이 나오기 위해선 이 분야에 전문 지식을 갖춘 국토부 관계자가 많아야 하는데 잦은 인사이동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것을 느낀다”며 “정부기관에서 물류에 대한 인식제고를 통해 전문 인력 확보에 신경써야한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국토해양부 김준석 물류정책과장은 “물류기업의 해외진출과 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논하기 이전에 국내물류기업이 해외로 진출할 경우 어떠한 이점들이 있는지 정확한 자료를 통한 분석이 돼야한다”며 “예를 들어 ‘글로벌 물류기업이 탄생될 경우 신규 일자리 창출을 얼마나 될 것인가’에 대한 데이터 등이 그런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에서도 글로벌 물류기업 탄생을 위해 향후 세제, 자금, 규제완화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배종완 기자 jwbae@ksg.co.kr >

맨위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