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6-29 15:44:14.0

5일간의 물류대란 막 내렸다

화물연대,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 운송료 9.9% 인상 합의

화물연대의 운송료 인상이 현실화되며 5일간 진행됐던 화물연대 총파업이 실질적으로 막 내렸다.

화물연대와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CTCA)는 29일 컨테이너 운송료 9.9% 인상안에 합의하고 이날 오전 11시30분부터 운송료 인상안과 업무복귀 여부를 놓고 지부별로 찬반투표에 들어갔다.

투표결과 조합원 절반 이상이 협상 내용에 찬성해 운송료 인상안이 타결됐고 화물연대 총파업도 중단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물류대란으로 한 차례 진동을 겪은 국내 물류업계는 한 숨을 돌리게 됐다.

화물연대는 29일 오전까지만 해도 운송료 23% 인상을 요구했지만 운송업체 7개사 대표들이 경영난 등 여러 가지 이유를 들며 6% 인상안을 고집해 난항을 겪었다.

화물연대측은 27일 1차 협상에서 30% 인상안을 제시한 후 2차 협상에서 23% 수정안을 제시했으며 4~5%를 고수하던 운송업체 대표들은 6%를 제시했다. 이후 양측은 서로간의 의견을 서서히 좁혀 나갔다. 결론적으로 화물연대가 운송료 9.9% 인상에 합의해 화물연대 총파업이 막을 내리게 됐다.

이번 파업 철회는 정부와 화물연대 양측 다 명분을 지키고 실리를 챙기는 소득을 얻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정부는 처음부터 표준운임제에 대해 정부가 민간의 사적 거래계약에 관여할 수 없다는 원칙을 고수했다.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도 최근 “표준운임제를 통해 화주와 화물차주간 약속 이행을 강제해달라는 요구는 정부가 응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화물연대도 표준운임제에 매달리지 않고 운임 인상을 이끌어내 파업 철회 명분을 확보했다.

한편 이번 화물연대의 운송거부는 지난 2008년과 비교해 지지도가 많이 떨어졌다는 결과가 나왔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 28일 밤 10시 현재 운송거부 차량은 1020대로 하루만에 814대가 운송에 복귀했다”며 “운송거부 차량은 전체 차량 1만1188대의 9.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 2008년 6월 파업 때 운송거부 4일차(71.9%)와 비교하면 조합원의 파업 지지도가 크게 낮음을 보여준다.

이번 파업으로 인해 25일부터 28일까지 국내 수출입 기업이 입은 피해액은 311억원으로 집계됐다.

29일 무역협회에 따르면 파업이 시작됐던 25일부터 28일까지 국내 수출입 기업이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로 입은 피해규모는 311억원을 기록했다.

무역협회는 파업 첫날 36TEU의 컨테이너가 발이 묶인 것을 시작으로 26일 46TEU 27일 37TEU 28일 86TEU 등 나흘간 무역기업 98곳이 205TEU의 수출입 컨테이너를 수송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전국 주요 물류거점의 1일 컨테이너의 반출입량은 평시대비 65.7%인 4만6170TEU로 집계됐다. 컨테이너 장치율은 43%를 기록, 평소(44.5%) 수준을 유지했다. 부산항 50.7% 광양항 33.6% 인천항 66.8% 수준이다.

< 배종완 기자 jwbae@ksg.co.kr >

맨위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