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6-18 09:41:48.0

물류에서 RFID확산시 고려점

기고/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부 장윤석 교수


 

바코드 기술은 북미에서 1973년 4월3일 Universal Product Code (UPC) 심벌이 식료품업계의 표준으로 결정된 이후, 1980년에 이르러 식료품의 90%가 UPC 심벌을 부착하게 되었고, 유럽에서도 1976년 12월 European Article Numbering(EAN) 코드와 심벌을 채택하게 되면서 물류분야의 핵심기술로 자리 잡아 왔다. 하지만 상품에 대한 표현능력의 한계 (제품종류의 표현까지만 가능), 훼손되기 쉬운 점, 일단 프린트된 후는 정보의 변경이 불가능 한 점, 일괄인식이 불가능함으로, 물류량이 급증할 때 이에 대처할 능력이 떨어지는 점, 가시선 문제로 인한 인식률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물류업계에선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기술로 RFID가 거론되고 있고 2000년대 초부터 IT839 등 많은 정부주도의 정책과 지원프로그램으로 RFID확산시도가 있었지만 8년이 지난 현재의 물류분야의 적용상황을 살펴보면 기대보다 그 확산속도가 느린 것 같다. 이에 대해 흔히 거론되는 원인은 RFID의 가격이 아직까지 너무 고가라는 획일화 된 답변이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RFID의 가격 외에 고려해야 될 다른 요인들을 찾아보기로 한다.

1. RFID 적용의 이슈들
태그의 품질문제 : 대부분의 유통물류업체의 관계자들에게 RFID의 확산을 위하여 적합한 태그가격을 물어본다면 5원 이하라는 의견을 많이 접하게 된다. 최근 태그의 생산가격을 낮출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이 (잉크기술 등) 국내에도 선보이고 있지만 시간에 따른 인식률 저하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물론 사용자 입장에선 태그가격이 낮을수록 좋은 게 사실이지만, 가격이 낮다는 것은 태그의 품질의 저하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무조건 태그의 가격이 낮아야 물류에 적용할 수 있다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해 관리해야 될 제품의 가치와 요구되는 관리의 수준에 맞게 차별화된 태그의 가격정책이 필요하다. 즉 고도의 관리를 요하는 고가의 제품은 그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하기에 적합한 태그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
기술에 대한 이해 : RFID의 장점이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하지만, 적용에 대한 분석에선 특정프로세스에서의 인식속도를 개선을 시킨다는 단편적인 분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 같은 한계는 적용 프로세스와 기술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해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기술적인 한계 : 초기에 기술적인 한계로 지목 되었던, 물품의 특성 (예: 액체와 금속) 등에 따른 인식률 문제들은 상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연구결과로 나온 대안들이 아직까지는 물류업체에서 수용할 수 있는 가격이 아니라는 점이다. 또한 비록 새로운 기술(예: GEN2)이 기술적인 한계를 많이 극복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는 수동형기술로는 아이템 레벨(item level) 인식이라는 목표를 실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프로세스 재설계 : RFID가 유통물류업체에서 확산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프로세스 중 변화되어야 할 부분이 많으며, 이와 같은 변화에 대한 조직내부의 반발은 예상외로 크다. 이미 기존의 업무 프로세스에 익숙한 조직에 새로운 업무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것은 결과 쉬운 일이 아니다. 조직내의 반발 중 도입의 목적에 대한 바른 이해가 이루어지지 못한 데서 기인 하거나 RFID 도입목적에 대한 조직 내 컨센서스가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도 많은 데, 예를 들면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성 증대를 목적으로 도입하려는 경우도 작업자의 업무에 대한 추적 및 평가를 위한 도입으로 오해되어 반발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RFID프로젝트가 기업의 잘못된 프로세스를 수정해주지는 않으므로 비효율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재설계는 성공적인 RFID적용에 필수 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비즈니스 모델 개발 : 현재까지는 정부의 시범사업 및 확산사업 위주로 RFID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 졌으나 RFID가 산업계전반으로 확산되려면 이와 같은 정부지원사업에 의지하는 것보다 기업주도의 확산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이 전적으로 시범사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게 아니라, 기술의 사용자가 되는 기업에서 초기 비즈니스 모델을 찾고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적용영역의 전파환경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기술의 진보를 고려한 단계적 적용 (팔레트 단위의 적용후, 박스단위의 적용을 추진하는 등)은 성공적인 적용에 필요한 조건이다. 또한 초기 도입비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에 아주 중요한 견인차가 될 수 있다.
관련 인프라 (소프트 웨어, 하드웨어)구축 문제 : 기존의 바코드 기반의 인프라를 RFID기반의 인프라로 교체 내지는 업그레이드 하는 비용은 상당하다. 일부 적용업체를 보면 기존의 바코드기반의 시스템에서 바코드 대신 RFID 시스템만 교체 적용한 경우도 볼 수 있는데, 이는 RFID가 제공하는 많은 이점을 잘 활용하지 못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소비자의 Privacy : privacy 문제는 RFID의 적용 시 늘 발생하는 문제이다. 어떻게 태그의 동작을 멈추게 할 것인지 제품 판매증가를 위한 소비자 정보 또는 구매패턴에 대한 정보의 활용과 소비자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기 위해 정보를 관리해야 할 의무간의 경계를 정하는 문제는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2. 도입시 고려 해야 할점
RFID 시스템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함으로 유통물류에 Real Time Enterprise라는 개념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RFID 시스템이 잘못된 비즈니스 프로세스(Business Process)를 수정해 주지는 않는 다는 점은 주지할 필요가 있다. RFID를 도입하였을 때의 이익은 RFID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진행하게 되는 Process Re-engineering에 의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RFID가 공급망 관리에 혁신을 가지고 올 것은 사실이지만, RFID를 도입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이 고려해야 할 점들이 있다.

쪾RFID 시스템의 적용되는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조건이 정리가 필요하다. 적용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하드웨어적인 성능이 다른 데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기준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쪾현재 대부분의 물류창고, 리테일 스토어(Retail Store)는 RFID의 적용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건축되어 RFID를 적용하게 되면, 배선작업, 구조물의 설치 등 기존의 건물에 부가적인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기존의 건물들이 이와 같은 고려가 없이 건축되었기 때문에 적용을 위한 설치비용 등 적용에 대한 부가적인 비용은 항상 존재하게 된다.   
쪾RFID 적용 이전에 기존의 비즈니스 프로세스(Business Process)에 대한 검토 및 개선안이 필요하다.
쪾현재 제시되고 있는 RFID 비즈니스 모델들 중 RFID를 반드시 적용해야 되는 사례가 아닌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예 중 단순히 바코드만으로도 해결될 수 있는 경우도 상당수가 존재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쪾무조건적인 저가형 태그가 적용 되야 된다는 생각은 바뀌어야 한다. 고가 제품에 대한 적용 시에는 꼭 저가형 (예: 50원)태그를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
쪾현재 대부분의 태그는 물품/포장용기에 대한 부착방법의 고려가 없이 제조된 것이 대부분인 점인데, 물류에의 확산을 위해서는 태그의 부착방법, 또는 태그가 적용된 포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쪾외국에서 적용된 정보 시스템 사양(specification)을 분석없이 적용하는 방식은 반드시 제고되어야 한다. 현재 많은 시범사업 등에서 요청되는 RFID 미들웨어의 사양(specification)의 경우, EPC Global (즉, GS1)에서 제시된 아키텍쳐(Architecture)를 요구하지만, 이와 같은 EPC Global의 구조가 공식적인 국제표준도 아니며, RFID기반의 물류시스템을 구축한 외국의 기업의 경우 EPC Global의 구조를 따르지 않은 경우도 상당히 많다. < 코리아쉬핑가제트 >

맨위로
맨위로